22 2013년 12월 22 동지팥죽 댓글 0 24절기 24절기 동지팥죽 '동지팥죽' 요즘은 하루해가 가장 짧은 계절이다. 태양이 머무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일년중 가장 추운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동지는 대설 15일 후, 소한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의 동지선과 황경 270°에 도달하는 1.. 24절기 2013. 12. 22. '동지팥죽' 요즘은 하루해가 가장 짧은 계절이다. 태양이 머무는 시간이 적기 때문에 일년중 가장 추운날씨를 보이기도 한다. 동지는 대설 15일 후, 소한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의 동지선과 황경 270°에 도달하는 1.. 댓글 24절기 2013. 12. 22.
06 2011년 01월 06 소한 추위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소한 추위 (24절기) '소한 추위'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다. 눈이 가장 많이 내리고 얼음이 두껍게 얼어 겨울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일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양력 1월 15일 무렵이다. '소한땜' 이 아니라도 이때는 전국이 최저 기온을 나타낸다. 그래서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 24절기 2011. 1. 6. '소한 추위'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다. 눈이 가장 많이 내리고 얼음이 두껍게 얼어 겨울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일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양력 1월 15일 무렵이다. '소한땜' 이 아니라도 이때는 전국이 최저 기온을 나타낸다. 그래서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 댓글 24절기 2011. 1. 6.
19 2010년 02월 19 우수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우수 (24절기) '눈과 얼음이 녹는 계절' 우수(雨水)는 24절기의 하나로, 정월의 중기이다. 눈이 비가 되어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며 날씨가 많이 풀려 따뜻한 봄기운에 초목이 싹트는 계절이다. 24절기 2010. 2. 19. '눈과 얼음이 녹는 계절' 우수(雨水)는 24절기의 하나로, 정월의 중기이다. 눈이 비가 되어 내리고 얼음이 녹아서 물이 되며 날씨가 많이 풀려 따뜻한 봄기운에 초목이 싹트는 계절이다. 댓글 24절기 2010. 2. 19.
03 2010년 02월 03 입춘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입춘 (24절기) '입춘 [立春]' 양력 2월 4일경, 태양이 시황경 315°에 왔을 때를 입춘 입기일로 하여 이후 약 15일간이 입춘기간에 해당한다. 음력으로는 정월의 절기로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는 하지만, 추위는 아직도 강하다. 그러나 입춘 전날이 절분(節分)인데 이것은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이.. 24절기 2010. 2. 3. '입춘 [立春]' 양력 2월 4일경, 태양이 시황경 315°에 왔을 때를 입춘 입기일로 하여 이후 약 15일간이 입춘기간에 해당한다. 음력으로는 정월의 절기로 동양에서는 이 날부터 봄이라고는 하지만, 추위는 아직도 강하다. 그러나 입춘 전날이 절분(節分)인데 이것은 철의 마지막이라는 뜻이.. 댓글 24절기 2010. 2. 3.
20 2010년 01월 20 대한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대한 (24절기) '대한 [大寒]' 소한(小寒) 15일 후부터 입춘(立春)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으로는 1월 20일경부터 시작된다. 음력으로는 12월 중기(中氣)이다. 태양의 황경은 약 300°가 된다. 대한은 그 말뜻으로 보면, 가장 추운 때를 의미하지만, 한국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1월 15일경이므로 사정이 .. 24절기 2010. 1. 20. '대한 [大寒]' 소한(小寒) 15일 후부터 입춘(立春)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으로는 1월 20일경부터 시작된다. 음력으로는 12월 중기(中氣)이다. 태양의 황경은 약 300°가 된다. 대한은 그 말뜻으로 보면, 가장 추운 때를 의미하지만, 한국에서는 1년 중 가장 추운 시기가 1월 15일경이므로 사정이 .. 댓글 24절기 2010. 1. 20.
04 2010년 01월 04 소한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소한 (24절기) '소한 [小寒] ' 동지 후, 대한(大寒) 전의 절기이다. 양력 1월 5일경에서 20일경이며, 음력으로는 12월절(十二月節)이다. 태양은 1월 5일경 황경 약 285°에 위치한다. 절후의 이름으로 보아 대한 때가 가장 추운 것 같으나 실은 소한 때가 한국에서는 1년 중 가장 춥다. 옛 사람들은 소한 15일간.. 24절기 2010. 1. 4. '소한 [小寒] ' 동지 후, 대한(大寒) 전의 절기이다. 양력 1월 5일경에서 20일경이며, 음력으로는 12월절(十二月節)이다. 태양은 1월 5일경 황경 약 285°에 위치한다. 절후의 이름으로 보아 대한 때가 가장 추운 것 같으나 실은 소한 때가 한국에서는 1년 중 가장 춥다. 옛 사람들은 소한 15일간.. 댓글 24절기 2010. 1. 4.
22 2009년 12월 22 동지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동지 (24절기) '동지' 대설(大雪) 15일 후, 소한(小寒)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음력으로는 11월 중기(中氣)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의 동지선과 황경 270°에 도달하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을 가리킨다. 동양의 태음태양력에서 역의 기산점으로 중요한 .. 24절기 2009. 12. 22. '동지' 대설(大雪) 15일 후, 소한(小寒)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음력으로는 11월 중기(中氣)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이 적도 이남 23.5°의 동지선과 황경 270°에 도달하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을 가리킨다. 동양의 태음태양력에서 역의 기산점으로 중요한 .. 댓글 24절기 2009. 12. 22.
07 2009년 12월 07 대설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대설 (24절기) ' 대설 [大雪]' 24절기의 하나로,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다. 황경(黃經) 255˚에 위치할 때로 음력 10월 중이고,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 시작한다. 중국 화북지방을 기준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이다. 소설(小雪) 15일 후, 동지(冬至) 전까지의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이 대.. 24절기 2009. 12. 7. ' 대설 [大雪]' 24절기의 하나로,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다. 황경(黃經) 255˚에 위치할 때로 음력 10월 중이고,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 시작한다. 중국 화북지방을 기준으로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이다. 소설(小雪) 15일 후, 동지(冬至) 전까지의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이 대.. 댓글 24절기 2009. 12. 7.
22 2009년 11월 22 소설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소설 (24절기) '소설 [小雪] '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스무번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11월 22일경부터 15일 간, 음력으로는 10월 중순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240°에 놓이는 때이다. 입동이 지나면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즉 첫겨울의 징.. 24절기 2009. 11. 22. '소설 [小雪] '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스무번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11월 22일경부터 15일 간, 음력으로는 10월 중순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240°에 놓이는 때이다. 입동이 지나면 첫눈이 내린다고 하여 소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즉 첫겨울의 징.. 댓글 24절기 2009. 11. 22.
06 2009년 11월 06 입동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입동 (24절기) '입동 [立冬]' 양력 11월 7∼8일경으로, 상강(霜降) 후 약 15일, 소설(小雪) 전 약 15일에 해당한다. 태양의 시황경이 225°일 때 입동이 들고, 음력으로 10월 절기이다. 이날부터 겨울이라는 뜻에서 입동이라 부르고, 동양에서는 입동 후 3개월(음력 10∼12월)을 겨울이라고 한다. 늦가을을 지나 .. 24절기 2009. 11. 6. '입동 [立冬]' 양력 11월 7∼8일경으로, 상강(霜降) 후 약 15일, 소설(小雪) 전 약 15일에 해당한다. 태양의 시황경이 225°일 때 입동이 들고, 음력으로 10월 절기이다. 이날부터 겨울이라는 뜻에서 입동이라 부르고, 동양에서는 입동 후 3개월(음력 10∼12월)을 겨울이라고 한다. 늦가을을 지나 .. 댓글 24절기 2009. 11. 6.
23 2009년 10월 23 상강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상강 (24절기) 상강 [霜降]'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열여덟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경부터 약 15일 동안, 음력으로는 9월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은 약 210°가 된다. 된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아침이면 온 땅이 서리로 뒤덮여 아침 햇살을 받아 온.. 24절기 2009. 10. 23. 상강 [霜降]'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열여덟째에 해당한다. 양력으로는 10월 23일경부터 약 15일 동안, 음력으로는 9월이며, 태양의 황경(黃經)은 약 210°가 된다. 된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아침이면 온 땅이 서리로 뒤덮여 아침 햇살을 받아 온.. 댓글 24절기 2009. 10. 23.
23 2009년 10월 23 한로 (24절기) 댓글 0 24절기 24절기 한로 (24절기) '한로 [寒露]'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의 절기로, 양력 10월 8일경이 시작되는 날이다. 이때 태양은 황경 195°의 위치에 오며 음력으로는 9월절이다. 옛 중국에서는 한로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三候)로 나눠서, ①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②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돌며,.. 24절기 2009. 10. 23. '한로 [寒露]'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의 절기로, 양력 10월 8일경이 시작되는 날이다. 이때 태양은 황경 195°의 위치에 오며 음력으로는 9월절이다. 옛 중국에서는 한로 15일간을 5일씩 끊어서 3후(三候)로 나눠서, ① 기러기가 초대를 받은 듯 모여들고, ② 참새가 줄고 조개가 나돌며,.. 댓글 24절기 2009.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