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2014년 10월 24 유영(柳永): 북송 가단(歌壇)의 "대부" 댓글 0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유영(柳永): 북송 가단(歌壇)의 "대부" 글: 진사황(秦四晃) 어떤 사람은 백곡, 천곡을 만들었지만, 사람들이 보기에 그저 평범한 음악가이고, 어떤 사람은 단지 1곡만으로도 인기가 엄청나서 순식간에 스타 우상이 되곤 한다. 이 속에 숨은 비밀은 그다지 오묘할 것도 없다. 관건은 아주 대표적이고 후세에 전해질 노래가 있느냐.. 중국과 문학/송사 2014. 10. 24. 글: 진사황(秦四晃) 어떤 사람은 백곡, 천곡을 만들었지만, 사람들이 보기에 그저 평범한 음악가이고, 어떤 사람은 단지 1곡만으로도 인기가 엄청나서 순식간에 스타 우상이 되곤 한다. 이 속에 숨은 비밀은 그다지 오묘할 것도 없다. 관건은 아주 대표적이고 후세에 전해질 노래가 있느냐..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14. 10. 24.
24 2010년 01월 24 명청문인들은 왜 이청조(李淸照)의 재혼을 극력 부정했는가? 댓글 0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명청문인들은 왜 이청조(李淸照)의 재혼을 극력 부정했는가? 글: 정계진(丁啓陣) 남편 조명성(趙明誠)이 죽은 후, 이청조가 재혼하였다는 것은 송나라사람들의 저작에서 여러 군데 명시 또는 암시되어 명확히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1. 왕작(王灼)의 <<벽계만지(碧鷄漫誌)>> 권2: "조(명성)이 죽은 후, (이청조)는 모씨와 재혼했다. 소송을 통하여 이혼했.. 중국과 문학/송사 2010. 1. 24. 글: 정계진(丁啓陣) 남편 조명성(趙明誠)이 죽은 후, 이청조가 재혼하였다는 것은 송나라사람들의 저작에서 여러 군데 명시 또는 암시되어 명확히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1. 왕작(王灼)의 <<벽계만지(碧鷄漫誌)>> 권2: "조(명성)이 죽은 후, (이청조)는 모씨와 재혼했다. 소송을 통하여 이혼했..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10. 1. 24.
17 2008년 07월 17 유영(柳永): 접련화(蝶戀花) 댓글 1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유영(柳永): 접련화(蝶戀花) 저의위루풍세세(佇倚危樓風細細) 망극춘수(望極春愁) 암암생천제(黯黯生天際) 초색연광잔조리(草色煙光殘照裏) 무언수회빙란의(無言誰會憑闌意) 의파소광도일취(擬把疎狂圖一醉) 대주당가(對酒當歌) 강락환무미(强樂還無味) 의대점관종불회(衣帶漸寬終不悔) 위이소득인초췌(爲.. 중국과 문학/송사 2008. 7. 17. 저의위루풍세세(佇倚危樓風細細) 망극춘수(望極春愁) 암암생천제(黯黯生天際) 초색연광잔조리(草色煙光殘照裏) 무언수회빙란의(無言誰會憑闌意) 의파소광도일취(擬把疎狂圖一醉) 대주당가(對酒當歌) 강락환무미(强樂還無味) 의대점관종불회(衣帶漸寬終不悔) 위이소득인초췌(爲..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08. 7. 17.
19 2007년 07월 19 악비(岳飛)의 만강홍(滿江紅) 댓글 11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악비(岳飛)의 만강홍(滿江紅) 노발충관빙난처, 소소우헐(怒髮衝冠憑欄處, 瀟瀟雨歇) 대망안,앙천장소,장회격렬(抬望眼,仰天長嘯, 壯懷激烈) 삼십공명진여토(三十功名塵與土) 팔천리로운화월(八千里路雲和月) 막등한, 백료소년두, 공비절(莫等閒, 白了少年頭, 空悲切) 정강치유미설(靖康恥猶未雪) 신자한하시멸(臣子恨何時.. 중국과 문학/송사 2007. 7. 19. 노발충관빙난처, 소소우헐(怒髮衝冠憑欄處, 瀟瀟雨歇) 대망안,앙천장소,장회격렬(抬望眼,仰天長嘯, 壯懷激烈) 삼십공명진여토(三十功名塵與土) 팔천리로운화월(八千里路雲和月) 막등한, 백료소년두, 공비절(莫等閒, 白了少年頭, 空悲切) 정강치유미설(靖康恥猶未雪) 신자한하시멸(臣子恨何時..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07. 7. 19.
16 2007년 05월 16 유영(柳永) : 우림령(雨霖鈴) 댓글 5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유영(柳永) : 우림령(雨霖鈴) 한선처절, 대장정만, 취우초헐(寒蟬凄切, 對長亭晩, 驟雨初歇) 도문장음무서, 유련처, 난주최발(都門帳飮無緖, 留戀處, 蘭舟催發) 집수상간루안, 경무어응열(執手相看淚眼, 竟無語凝噎) 염거거천리연파, 모애침침초천활(念去去千里煙波, 暮靄沉沉楚天闊) 다정자고상리별, 경나감.. 중국과 문학/송사 2007. 5. 16. 한선처절, 대장정만, 취우초헐(寒蟬凄切, 對長亭晩, 驟雨初歇) 도문장음무서, 유련처, 난주최발(都門帳飮無緖, 留戀處, 蘭舟催發) 집수상간루안, 경무어응열(執手相看淚眼, 竟無語凝噎) 염거거천리연파, 모애침침초천활(念去去千里煙波, 暮靄沉沉楚天闊) 다정자고상리별, 경나감..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07. 5. 16.
19 2006년 11월 19 송사(宋詞) : 사패(詞牌)의 종류 댓글 1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송사(宋詞) : 사패(詞牌)의 종류 사(詞)는 원래 먼저 곡조가 있고, 그 후에 곡조에 따라 사구(詞句)를 채워넣는 것이다. 요즘 말로 하면, 모든 사는 악보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곡에 맞추어 작사를 한다는 것이다. 당시에 모든 사에는 악보가 있었는데, 이 악보를 사패(詞牌)라고 부른다. 사는 당나라때부터 출현하였는데, 그 때부터 .. 중국과 문학/송사 2006. 11. 19. 사(詞)는 원래 먼저 곡조가 있고, 그 후에 곡조에 따라 사구(詞句)를 채워넣는 것이다. 요즘 말로 하면, 모든 사는 악보가 먼저 나오고 그 다음에 곡에 맞추어 작사를 한다는 것이다. 당시에 모든 사에는 악보가 있었는데, 이 악보를 사패(詞牌)라고 부른다. 사는 당나라때부터 출현하였는데, 그 때부터 ..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06. 11. 19.
15 2006년 11월 15 신기질(辛棄疾): <<청옥안(靑玉案). 원석(元夕)>> 댓글 0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신기질(辛棄疾): <<청옥안(靑玉案). 원석(元夕)>> 동풍야방화천수(東風夜放花千樹) 경취락, 성여우(更吹落, 星如雨) 보마조거향만로(寶馬雕車香滿路) 봉소성동(鳳簫聲動) 옥호광전(玉壺光轉) 일야어룡무(一夜魚龍舞) 아아설류황금루(娥兒雪柳黃金縷) 소어영영암향거(笑語盈盈暗香去) 중리심타천백도(衆裏尋他千百度) 맥연회수(驀然回首) 나인각재(.. 중국과 문학/송사 2006. 11. 15. 동풍야방화천수(東風夜放花千樹) 경취락, 성여우(更吹落, 星如雨) 보마조거향만로(寶馬雕車香滿路) 봉소성동(鳳簫聲動) 옥호광전(玉壺光轉) 일야어룡무(一夜魚龍舞) 아아설류황금루(娥兒雪柳黃金縷) 소어영영암향거(笑語盈盈暗香去) 중리심타천백도(衆裏尋他千百度) 맥연회수(驀然回首) 나인각재(..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06. 11. 15.
08 2006년 11월 08 생사자(生査子) 원야(元夜) 댓글 0 중국과 문학/송사 중국과 문학/송사 생사자(生査子) 원야(元夜) 거년원야시, 화시등여주(去年元夜時, 花市燈如晝) 월도유초두, 인약황혼후(月到柳梢頭, 人約黃昏後) 금년원야시, 월여등의구(今年元夜時, 月與燈依舊) 불견거년인, 누습춘삼수(不見去年人, 淚濕春衫袖) 작년 대보름때는 시내 거리는 등으로 낮처럼 밝았고 달이 버드나무 끝에 걸릴 때, 님과 황혼후에 .. 중국과 문학/송사 2006. 11. 8. 거년원야시, 화시등여주(去年元夜時, 花市燈如晝) 월도유초두, 인약황혼후(月到柳梢頭, 人約黃昏後) 금년원야시, 월여등의구(今年元夜時, 月與燈依舊) 불견거년인, 누습춘삼수(不見去年人, 淚濕春衫袖) 작년 대보름때는 시내 거리는 등으로 낮처럼 밝았고 달이 버드나무 끝에 걸릴 때, 님과 황혼후에 .. 댓글 중국과 문학/송사 2006.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