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2019년 08월 25 중국고대의 '명(名)'과 '자(字)' 댓글 1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고대의 '명(名)'과 '자(字)' 글: 고건가원(古建家園) 명자(名字, 중국에서는 '이름'이라는 뜻으로 쓰임)는 개인의 부호표시이다. 사람과 사람간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쓰는 칭호이다. '명자'는 대부분 간단하다. '성(姓)'과 '명(名)'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성'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고, 혈연관계를 나타낸..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9. 8. 25. 글: 고건가원(古建家園) 명자(名字, 중국에서는 '이름'이라는 뜻으로 쓰임)는 개인의 부호표시이다. 사람과 사람간에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쓰는 칭호이다. '명자'는 대부분 간단하다. '성(姓)'과 '명(名)'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성'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고, 혈연관계를 나타낸..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9. 8. 25.
06 2019년 06월 06 단오(端午)의 유래에 관하여 댓글 1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단오(端午)의 유래에 관하여 글: 교치백교복(喬治伯校服) "단오"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진(晋)대 주처(周處)의 <풍토지>이다: "중하단오(仲夏端午), 팽목각서(烹鶩角黍)", "중하단오(仲夏端午), 단(端), 시야(始也), 위오월초오야(謂五月初五也)" 음력은 지지(地支)로 달을 표시한다. 정월은 인(寅), 이월..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9. 6. 6. 글: 교치백교복(喬治伯校服) "단오"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진(晋)대 주처(周處)의 <풍토지>이다: "중하단오(仲夏端午), 팽목각서(烹鶩角黍)", "중하단오(仲夏端午), 단(端), 시야(始也), 위오월초오야(謂五月初五也)" 음력은 지지(地支)로 달을 표시한다. 정월은 인(寅), 이월..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9. 6. 6.
23 2019년 01월 23 중국에서의 작명법 변천사: 삼국시대 인물은 왜 모두 외자이름일까? 댓글 0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에서의 작명법 변천사: 삼국시대 인물은 왜 모두 외자이름일까? 글: 비상역사(非常歷史) <삼국연의>를 보면 이런 문제를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 왜 삼국시대에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외자이름을 가졌을까? 확실히 그렇다. 역사를 뒤져보면, 전체 동한(東漢), 삼국의 300여년간의 인명을 보면 거의 모두 외자이다. 두자 이름은 극소수이다. <후한서>..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9. 1. 23. 글: 비상역사(非常歷史) <삼국연의>를 보면 이런 문제를 얘기하는 사람이 있다: 왜 삼국시대에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외자이름을 가졌을까? 확실히 그렇다. 역사를 뒤져보면, 전체 동한(東漢), 삼국의 300여년간의 인명을 보면 거의 모두 외자이다. 두자 이름은 극소수이다. <후한서>..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9. 1. 23.
22 2018년 11월 22 "치파오(旗袍)"의 역사 댓글 0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치파오(旗袍)"의 역사 글: 고건중국(古建中國) 치파오는 중국과 세계의 화인여성(華人女性)의 전통복장이다. 중국의 국수(國粹)이며 여성의 국복(國服)이라고 불린다. 비록 무엇이 치파오인지와 그것의 기원에 관해서는 지금까지도 논쟁이 남아 있지만, 여전히 중국의 유구한 복식문화에서 가장 찬란한 현상과..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11. 22. 글: 고건중국(古建中國) 치파오는 중국과 세계의 화인여성(華人女性)의 전통복장이다. 중국의 국수(國粹)이며 여성의 국복(國服)이라고 불린다. 비록 무엇이 치파오인지와 그것의 기원에 관해서는 지금까지도 논쟁이 남아 있지만, 여전히 중국의 유구한 복식문화에서 가장 찬란한 현상과..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11. 22.
06 2018년 08월 06 호칭으로 본 중국남편의 추락사 댓글 0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호칭으로 본 중국남편의 추락사 글: 인본논어(人本論語) 중국에서는 수천년동안 부부간의 호칭이 적지 않게 변화해왔다. 그중 변화가 가장 많고, 가장 비극적인 것은 남편의 호칭이다. 호칭의 변화는 하나의 무정한 사실을 증명한다. 중국남자들의 역사적 지위는 계속하여 추락하였다. 1. 양인(良人) 가장 먼저 처가 남편..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8. 6. 글: 인본논어(人本論語) 중국에서는 수천년동안 부부간의 호칭이 적지 않게 변화해왔다. 그중 변화가 가장 많고, 가장 비극적인 것은 남편의 호칭이다. 호칭의 변화는 하나의 무정한 사실을 증명한다. 중국남자들의 역사적 지위는 계속하여 추락하였다. 1. 양인(良人) 가장 먼저 처가 남편..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8. 6.
01 2018년 08월 01 바둑과 관련된 고대명인의 대련(對聯) 3건. 댓글 0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바둑과 관련된 고대명인의 대련(對聯) 3건. 글: 간견역사(看見歷史) 바둑은 지자(智者)의 유희이다. 어떤 방면에서 보자면 기도(棋道)는 인생과 같고, 변수가 충만하다. 그리고 희망이 충만하다. 바둑은 사람들이 많이 좋아하는 것이므로 고대에도 명인들의 바둑에 관한 대련이 탄생했다. 첫째, 송하위기(松下圍棋), 송자우수기자락(..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8. 1. 글: 간견역사(看見歷史) 바둑은 지자(智者)의 유희이다. 어떤 방면에서 보자면 기도(棋道)는 인생과 같고, 변수가 충만하다. 그리고 희망이 충만하다. 바둑은 사람들이 많이 좋아하는 것이므로 고대에도 명인들의 바둑에 관한 대련이 탄생했다. 첫째, 송하위기(松下圍棋), 송자우수기자락(..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8. 1.
14 2018년 07월 14 장기의 병졸은 왜 다섯일까? 댓글 1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장기의 병졸은 왜 다섯일까? 글: 학국학망(學國學網) 중국장기는 두 사람이 대항하는 게임의 하나이다. 중화민족의 문화보배이다. 장기에서는 방형의 격상의 장기판과 홍,흑 두 색의 원형 장기알로 싸운다. 장기판에는 10개의 횡선과 8개의 수선(竪線) 모두 90개의 교차점이 있다. 장기의 알은 모두 32개이다. 색빨마다 ..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7. 14. 글: 학국학망(學國學網) 중국장기는 두 사람이 대항하는 게임의 하나이다. 중화민족의 문화보배이다. 장기에서는 방형의 격상의 장기판과 홍,흑 두 색의 원형 장기알로 싸운다. 장기판에는 10개의 횡선과 8개의 수선(竪線) 모두 90개의 교차점이 있다. 장기의 알은 모두 32개이다. 색빨마다 ..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7. 14.
22 2018년 03월 22 마작(麻雀)이 나오기 전에 중국인들은 무슨 놀이를 즐겼는가? 댓글 0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마작(麻雀)이 나오기 전에 중국인들은 무슨 놀이를 즐겼는가?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투호(投壺) 춘추전국시대는 제후들이 쟁패하던 시기이고, 말타고 활쏘는 무사정신이 숭상되었다. 그래서 사술(射術)을 겨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호가 인기있던 놀이가 된다. 투호의 최초기원은 예의(禮儀)이다. 정현(鄭玄)이 주석을 단 <예기정의>에서는 ..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3. 22. 글: 역사변연(歷史邊緣) 투호(投壺) 춘추전국시대는 제후들이 쟁패하던 시기이고, 말타고 활쏘는 무사정신이 숭상되었다. 그래서 사술(射術)을 겨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호가 인기있던 놀이가 된다. 투호의 최초기원은 예의(禮儀)이다. 정현(鄭玄)이 주석을 단 <예기정의>에서는 .. 댓글 중국과 문화/중국의 풍속 2018.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