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2019년 11월 13 여자의 아름다움을 형용하는 성어(成語)의 출처는? 댓글 0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여자의 아름다움을 형용하는 성어(成語)의 출처는? 글: 372Degree 여자의 아름다움을 형용하는 성어는 아주 많다. 여러분이 가장 잘 아는 두 개의 성어는 아마도 "폐월수화(閉月羞花)", "침여낙안(沉魚落雁)"일 것이다. 이를 가지고, 초선(貂蟬), 양귀비(楊貴妃),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4명의 미인의 각자 서로 다른 아름다움을 묘사하는데 ..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9. 11. 13. 글: 372Degree 여자의 아름다움을 형용하는 성어는 아주 많다. 여러분이 가장 잘 아는 두 개의 성어는 아마도 "폐월수화(閉月羞花)", "침여낙안(沉魚落雁)"일 것이다. 이를 가지고, 초선(貂蟬), 양귀비(楊貴妃), 서시(西施), 왕소군(王昭君) 4명의 미인의 각자 서로 다른 아름다움을 묘사하는데 .. 댓글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9. 11. 13.
10 2019년 02월 10 중국 성어(成語)의 영어판 댓글 0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 성어(成語)의 영어판 글: 명사구락부(明師俱樂部) 애옥급오(愛屋及烏) Love me, Love my dog.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One look is worth a thousand words. 비상부족(比上不足), 비하유여(比下有餘) To fall short of the best, but be better than the worst. 분조선비(笨鳥先飛) A slow sparrow should make an early start. 불유여력(不遺餘力) Spare no..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9. 2. 10. 글: 명사구락부(明師俱樂部) 애옥급오(愛屋及烏) Love me, Love my dog.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One look is worth a thousand words. 비상부족(比上不足), 비하유여(比下有餘) To fall short of the best, but be better than the worst. 분조선비(笨鳥先飛) A slow sparrow should make an early start. 불유여력(不遺餘力) Spare no.. 댓글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9. 2. 10.
18 2018년 06월 18 이방카의 중국속담: Those who say it can not be done, should not interrupt those doing it. 댓글 0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이방카의 중국속담: Those who say it can not be done, should not interrupt those doing it. 글: 주육민(周育民) 최근 트럼프의 딸 이방카가 트위터에서 부친을 칭찬할 때, 인용한 소위 '중국속담'이 화제이다. Those who say it can not be done, should not interrupt those doing it. 중국인들은 이 말을 이렇게 번역했다: "호구부당도(好狗不搪道)"(좋은 개는 길을 막지 않는다), "관기불어진군자(觀棋..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8. 6. 18. 글: 주육민(周育民) 최근 트럼프의 딸 이방카가 트위터에서 부친을 칭찬할 때, 인용한 소위 '중국속담'이 화제이다. Those who say it can not be done, should not interrupt those doing it. 중국인들은 이 말을 이렇게 번역했다: "호구부당도(好狗不搪道)"(좋은 개는 길을 막지 않는다), "관기불어진군자(觀棋.. 댓글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8. 6. 18.
27 2014년 08월 27 양곡(洋曲): 오행(五行)으로 이름짓기 댓글 1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양곡(洋曲): 오행(五行)으로 이름짓기 글: 마백용(馬伯庸) 중국전통의 '오행'이론은 지금까지도 민간에서 이름을 짓는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사주팔자(四柱叭字) 및 이에 기해서 이끌어내는 오행은 모두 천성적이어서 쉽게 바꿀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실상 '오행'을 모두 가지..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2014. 8. 27. 글: 마백용(馬伯庸) 중국전통의 '오행'이론은 지금까지도 민간에서 이름을 짓는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사주팔자(四柱叭字) 및 이에 기해서 이끌어내는 오행은 모두 천성적이어서 쉽게 바꿀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실상 '오행'을 모두 가지.. 댓글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2014. 8. 27.
02 2012년 07월 02 중국속담: 서로 모순되는 속담모음 (I) 댓글 0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속담: 서로 모순되는 속담모음 (I) 글: 유연빈(劉宴斌) 남자한대장부, 영절불굴(男子漢大丈夫, 寧折不屈): 사내 대장부는 꺽일 지언정 굽히지는 말아야 한다. 남자한대장부, 능신능굴(男子漢大丈夫, 能伸能屈): 사내 대장부는 펼 줄도 알고 굽힐 줄도 알아야 한다(<순자.불구>) 망양보뢰, 미위지야(亡羊補牢, 未爲遲也): ..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2. 7. 2. 글: 유연빈(劉宴斌) 남자한대장부, 영절불굴(男子漢大丈夫, 寧折不屈): 사내 대장부는 꺽일 지언정 굽히지는 말아야 한다. 남자한대장부, 능신능굴(男子漢大丈夫, 能伸能屈): 사내 대장부는 펼 줄도 알고 굽힐 줄도 알아야 한다(<순자.불구>) 망양보뢰, 미위지야(亡羊補牢, 未爲遲也): .. 댓글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12. 7. 2.
31 2009년 08월 31 성어유래: 매개이도(梅開二度) 댓글 0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성어유래: 매개이도(梅開二度) "매개이도(梅開二度)"를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매화가 두번 꽃을 피운다"는 것이다. 요즘 들어 "매개이도"는 축구경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한 선수가 한 경기에 2골을 넣는 경우를 "매개이도"라고 부른다. 한 선수가 한 경기에 3골을 넣는 해트트릭(hattrick, 중국에서는 그대로 번역하여 帽子戱法이라..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09. 8. 31. "매개이도(梅開二度)"를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매화가 두번 꽃을 피운다"는 것이다. 요즘 들어 "매개이도"는 축구경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한 선수가 한 경기에 2골을 넣는 경우를 "매개이도"라고 부른다. 한 선수가 한 경기에 3골을 넣는 해트트릭(hattrick, 중국에서는 그대로 번역하여 帽子戱法이라.. 댓글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09. 8. 31.
14 2008년 07월 14 좌회전과 우회전 댓글 0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좌회전과 우회전 좌회전과 우회전을 표현하는 방법이 독특한 중국의 두 도시가 있다. 하나는 북경이고, 다른 하나는 상해이다. 북경사람들은 길을 가르쳐줄 때, '동쪽으로 가라', '서쪽으로 가라' '동쪽으로 가다가, 사거리가 나오면 북쪽으로 꺽어져라'는 것과 같이 좌우전후가 아니라,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길을 알려..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2008. 7. 14. 좌회전과 우회전을 표현하는 방법이 독특한 중국의 두 도시가 있다. 하나는 북경이고, 다른 하나는 상해이다. 북경사람들은 길을 가르쳐줄 때, '동쪽으로 가라', '서쪽으로 가라' '동쪽으로 가다가, 사거리가 나오면 북쪽으로 꺽어져라'는 것과 같이 좌우전후가 아니라,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길을 알려.. 댓글 중국과 잡학/유머와 잡설 2008. 7. 14.
03 2008년 01월 03 우물(尤物)에 관하여 댓글 0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우물(尤物)에 관하여 글: 주위(朱偉) 원진(元稹)의 <<앵앵전(鶯鶯傳)>>을 보면, 남자주인공인 장생(張生)이 여자주인공인 최앵앵(崔鶯鶯)과의 정을 끊는데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무릇 하늘이 낳은 우물(尤物)은 그 자신을 미혹시키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미혹시킨다. 설령 최씨여자가 부귀한 집..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08. 1. 3. 글: 주위(朱偉) 원진(元稹)의 <<앵앵전(鶯鶯傳)>>을 보면, 남자주인공인 장생(張生)이 여자주인공인 최앵앵(崔鶯鶯)과의 정을 끊는데 대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무릇 하늘이 낳은 우물(尤物)은 그 자신을 미혹시키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미혹시킨다. 설령 최씨여자가 부귀한 집.. 댓글 중국과 잡학/속담과 성어 2008.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