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2020년 01월 16 광서제의 비극: 동년, 사업 그리고 애정 댓글 0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광서제)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광서제) 광서제의 비극: 동년, 사업 그리고 애정 글: 풍현일(馮玄一) 광서제는 청나라의 제11대황제이다. 그의 이름은 애신각라 재첨(載㵇)인데, '첨'자는 물리 조용히 흐르는 모습을 가리킨다. 그의 성격과는 아주 잘 들어맞는다. 현재 남아 있는 그의 화상(畵像)을 보면, 그는 문약하고 청수(淸秀)한 청년이다. 그러나, 그의 준수한 얼굴 ..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광서제) 2020. 1. 16. 글: 풍현일(馮玄一) 광서제는 청나라의 제11대황제이다. 그의 이름은 애신각라 재첨(載㵇)인데, '첨'자는 물리 조용히 흐르는 모습을 가리킨다. 그의 성격과는 아주 잘 들어맞는다. 현재 남아 있는 그의 화상(畵像)을 보면, 그는 문약하고 청수(淸秀)한 청년이다. 그러나, 그의 준수한 얼굴 .. 댓글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광서제) 2020. 1. 16.
12 2019년 04월 12 청나라말기의 3가지 선택: 변법, 폭동, 혁명 댓글 0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청나라말기의 3가지 선택: 변법, 폭동, 혁명 글: 냉아봉(冷阿鋒) 대청 말기 인심이 바뀌었고, 모든 사람들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바뀔 것인가? 지위가 다르고, 처지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생각은 서로 살랐다. 당시의 대청왕조도 기회는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 기회를..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2019. 4. 12. 글: 냉아봉(冷阿鋒) 대청 말기 인심이 바뀌었고, 모든 사람들은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어떻게 바뀔 것인가? 지위가 다르고, 처지가 다르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생각은 서로 살랐다. 당시의 대청왕조도 기회는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그 기회를.. 댓글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2019. 4. 12.
12 2019년 02월 12 강희장(江希張): 10살때 총통의 막료가 된 민국제일신동 댓글 0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강희장(江希張): 10살때 총통의 막료가 된 민국제일신동 글: 역사백가회(歷史百家匯) 강희장은 광서33년(1907년) 정월 초이틀에 산동성 제남 남력성현 강가장에서 태어난다. 부친 강종수(江鍾秀)는 농민출신으로 20년간 힘들게 공부하여, 어느 정도 성취를 이룬다. 그는 제남의 성수묘(星宿廟)에 의학(義學)을 세운다. 그리고 <공맹도가>, <흥..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2019. 2. 12. 글: 역사백가회(歷史百家匯) 강희장은 광서33년(1907년) 정월 초이틀에 산동성 제남 남력성현 강가장에서 태어난다. 부친 강종수(江鍾秀)는 농민출신으로 20년간 힘들게 공부하여, 어느 정도 성취를 이룬다. 그는 제남의 성수묘(星宿廟)에 의학(義學)을 세운다. 그리고 <공맹도가>, <흥.. 댓글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2019. 2. 12.
14 2018년 11월 14 양사이(梁士詒): 잊혀진 민국총리(民國總理) 댓글 0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초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초기) 양사이(梁士詒): 잊혀진 민국총리(民國總理) 글: 청림지청(靑林知靑) 중화민국 역사상 총리는 많았다. 그러나 양사이는 아마도 사람들에게 가장 덜 알려진 인물중 하나일 것이다. 그는 손중산, 단기서와 같은 대인물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고, 웅희령(熊希齡), 육정상(陸征祥)같은 사람들과도 차이가 많다. 금융계의 소수인들에 대한 ..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초기) 2018. 11. 14. 글: 청림지청(靑林知靑) 중화민국 역사상 총리는 많았다. 그러나 양사이는 아마도 사람들에게 가장 덜 알려진 인물중 하나일 것이다. 그는 손중산, 단기서와 같은 대인물과는 비교할 수조차 없고, 웅희령(熊希齡), 육정상(陸征祥)같은 사람들과도 차이가 많다. 금융계의 소수인들에 대한 .. 댓글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초기) 2018. 11. 14.
24 2018년 10월 24 오치휘(吳稚暉): 민국제일매장(民國第一罵將) 댓글 1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오치휘(吳稚暉): 민국제일매장(民國第一罵將) 글: 채휘(蔡輝) "출판계에서, 요 칠년간 2,3부 이상 볼만한 책이 없다....나중에 내가 찾고 찾다가 겨우 오치휘 선생의 <상하고금담(上下古今談)>을 얻어서, 무호로(蕪湖路)로 가져가서 읽었다. 나는 이런 괴현상을 보고는 정말 방성대곡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의 중국인이 배가 고프..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2018. 10. 24. 글: 채휘(蔡輝) "출판계에서, 요 칠년간 2,3부 이상 볼만한 책이 없다....나중에 내가 찾고 찾다가 겨우 오치휘 선생의 <상하고금담(上下古今談)>을 얻어서, 무호로(蕪湖路)로 가져가서 읽었다. 나는 이런 괴현상을 보고는 정말 방성대곡하지 않을 수 없었다. 지금의 중국인이 배가 고프.. 댓글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민국 후기) 2018. 10. 24.
20 2018년 10월 20 강유위(康有爲)의 동생 강광인(康廣仁)의 진실은...? 댓글 0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후기)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후기) 강유위(康有爲)의 동생 강광인(康廣仁)의 진실은...? 글: 채휘(蔡輝) "담사동(譚嗣同)은 옥안에서 태연자약하며 하루종일 방안을 걸어서 돌며, 땅 바닥의 석탄조각을 주워서 벽에 글을 썼다.... 임욱(林旭)은 처자처럼 준수했고, 옥안에서 때때로 미소를 지었다. 강광인(康廣仁)은 그러나 머리를 벽에 들이받으며 통곡, 실성하며 소리쳤다: '하..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후기) 2018. 10. 20. 글: 채휘(蔡輝) "담사동(譚嗣同)은 옥안에서 태연자약하며 하루종일 방안을 걸어서 돌며, 땅 바닥의 석탄조각을 주워서 벽에 글을 썼다.... 임욱(林旭)은 처자처럼 준수했고, 옥안에서 때때로 미소를 지었다. 강광인(康廣仁)은 그러나 머리를 벽에 들이받으며 통곡, 실성하며 소리쳤다: '하.. 댓글 중국과 역사인물-시대별/역사인물 (청 후기) 2018. 10. 20.
02 2018년 08월 02 유신파를 가장 먼저 배신한 사람은 강유위의 동생 강광인(康廣仁)이다. 댓글 0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유신파를 가장 먼저 배신한 사람은 강유위의 동생 강광인(康廣仁)이다. 글: 당의문(唐宜雯) 유신변법의 실패원인을 얘기할 때 지금까지 원세개가 담사동 및 유신파를 배신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강유위가 조작해낸 말이다. 양계초조차도 이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만일 정말 원세개가 그랬다면, 민국이후, 양계초가 어찌 귀국하여 원세개..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2018. 8. 2. 글: 당의문(唐宜雯) 유신변법의 실패원인을 얘기할 때 지금까지 원세개가 담사동 및 유신파를 배신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강유위가 조작해낸 말이다. 양계초조차도 이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만일 정말 원세개가 그랬다면, 민국이후, 양계초가 어찌 귀국하여 원세개.. 댓글 중국과 역사사건/역사사건 (청 후기) 2018. 8. 2.
01 2018년 08월 01 강유위(康有爲): 진실한 강유위 댓글 0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강유위)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강유위) 강유위(康有爲): 진실한 강유위 글: 창해일속(滄海一粟) 이런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일찌기 의무교육단계의 역사교과서에 나온다. 그를 언급할 때면 그가 '공거상서(公車上書)', '무술변법(戊戌變法)'을 주재했다고 여긴다. 모든 사람은 그를 큰스승으로 여긴다. 국학대사(國學大師) 그 자신도 자기를 그렇게 생각했..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강유위) 2018. 8. 1. 글: 창해일속(滄海一粟) 이런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일찌기 의무교육단계의 역사교과서에 나온다. 그를 언급할 때면 그가 '공거상서(公車上書)', '무술변법(戊戌變法)'을 주재했다고 여긴다. 모든 사람은 그를 큰스승으로 여긴다. 국학대사(國學大師) 그 자신도 자기를 그렇게 생각했.. 댓글 중국의 역사인물-개인별/역사인물 (강유위) 2018.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