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 봄맞이 광주 대촌동, 칠석동 나들이 ~~~ ▲ 칠석동 은행나무 겨울 제국이 드디어 무너지고 봄이 천하 평정에 열을 올리던 3월의 끝 무렵, 남도의 중심 지 광주(光州)를 찾았다. 광주 지인의 초청으로 간만에 가게 되었는데, 그는 자연과 문화 유산에 두루 정통하고 숲과 자연을 강의하는 ..
1. 무등산 천제단 약사암 동북쪽 470m 고지 소나무숲에 천제단이 숨겨져 있다. 이곳은 이름 그대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제단으로 천제당 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멀리 신라 때부터 전해오던 곳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무등산신사'로 등장한다. <현(광주) 동쪽 10리에 있다고 나옴> 신..
1. 무등산 느티나무(당산나무) 증심사에서 약사암으로 가는 중간에 당산나무와 중머리재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이정표가 있음) 그 길을 조금 올라가면 커다란 느티나무가 마중을 하는데, 그 나무가 오랫동안 당산나무로 살아온 느티나무이다. 광주시 보호수로 지정된 그는 약 490년 묵은..
~~~ 무등산 약사암(약사사) ~~~ 증심사 동남쪽 골짜기에 묻혀있는 약사암(약사사)은 증심사 못지 않게 늙은 절이다. 850년경에 철감선사 도윤이 창건하여 인왕사라 했다고 전하며, 1094년에 혜조국사가 중건하고, 1360년에 3번째 중건을 하면서 약사암으로 이름을 갈았다. 1856년 전라도관찰사 ..
1. 증심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비로전에 봉안된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은 증심사의 유일한 국가 지정문화유산이다. 증심사에 왔다면 꼭 보고가야 되는 이 곳의 보물로 그는 원래 옛 전남도청 뒷쪽에 있던 대황사지에 있었으나 1934년에 증심사로 넘어왔다. (이때 7층석탑과 석 조보살입상이 ..
1. 증심사 오백전 오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증심사에서 가장 늙은 집이다. (동시에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 1443년에 지어졌으며, 정유재란 때 불탄 것을 1609년에 중수했다. 증심사의 대부분이 화마의 먹이가 되었던 6.25때도 살 아남은 생명력 강한 집으로..
~~~ 무등산 증심사 ~~~ 광주의 오랜 진산인 무등산의 서쪽 품에는 증심사가 안겨져 있다. 이곳은 무등산의 대표 사찰이자 광주 지역 제일의 고찰 로 9세기 중반에 철감선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1094년 혜조국사가 중창하고, 1443년에 김방이 3번째 중창을 했으며,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16..
☆ 광주 충효동 취가정 ★ 환벽당 남쪽에 자리한 취가정은 임진왜란 때 호남 지역의 대표적인 의병장이자 충효동 출신인 김덕령의 넋을 기리고자 후손들이 1890년에 지은 것이다. 충효동과 담양 남면 지역에 흩어진 누정(환벽당, 식영정, 면앙정, 소쇄원 등) 중 제일 막내로 정자의 이름인 ..
☆ 호남 가사문학의 성지이자 호남 누정문화의 백미, 광주 환벽당 ★ 무등산의 뒷통수인 충효동 증암천(창계천) 변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한 환벽당은 1540년대에 사촌 김윤제 (1501~1572)가 지은 일종의 별서로 여기서 가사문학을 짓고 후학을 양성했다. 가사문학의 대명사로 불리는 송강 정..
☆ 가사문학의 오랜 성지이자 호남 누정문화의 백미, 광주 환벽당 ★ 무등산의 뒷통수인 충효동 증암천(창계천) 변 야트막한 언덕에 환벽당이 자리해 있다. 이곳은 1540년대에 사촌 김윤제(1501~1572)가 지은 별서로 그는 여기서 여가를 보내며 가사문학을 짓고 후학을 양성했다. 가사문학의 ..
☆ 광주호, 광주호 호수생태원 ★ 광주호는 광주와 전남 담양 경계에 자리한 너른 호수로 영산강의 지류인 고서천에 댐을 지으면서 조성되었다. 1974년 공사를 시작하여 1976년 9월 완성을 보있는데, 무등산 바로 뒷통수로 주변 경관이 아름답고 소쇄원과 환벽당, 식영정, 취가정, 충효동 왕..
☆ 광주 충효동 왕버들 ★ 광주에서 가장 동쪽 구석인 충효동 길가에 400여 년 묵은 왕버들 3그루가 있다. 조촐하게 군락을 이루고 있다. 이들은 높이 10m, 둘레는 8m 정도로 예전에는 소나무 1그루, 매화나무 1그루, 왕버들 5그루가 있었으나 지금은 왕버들 3그루만 남아 전하고 있다. 이들은 ..
☆ 광주 충효동 도요지 (충효동가마터) ★ 충효동 금곡마을 주변에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초까지 청자와 백자 등을 만들던 가마터유적이 여럿 남아있다. 그중 2호 가마는 아궁이부터 굴뚝 부분까지 거의 완전한 모습을 드러내 우리나라 가마 구조를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을 주었다. 백토..
☆ 원효계곡 하류에 자리한 풍암정 ★ 풍암정은 풍암 김덕보(1571~1627)가 1614년 이전에 세운 정자이다. 그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크게 활약했던 김덕령의 아우인데, 큰형 김덕홍이 의병장 고경명의 수하로 활동하다가 금산 전투에서 전사했고 (고경명의 어리석음으로 완전 대패를 당했..
☆ 무등산 옛길 3구간에 자리한 사촌 김윤제 재실 (귀후당) ★ 무등산 뒷통수인 금곡동 산골에 사촌 김윤제의 재실인 귀후재가 있다. 풍암정 정류장(광주시내버스 1187번이 정차함)에서 무등산 옛길 3코스로 진입해 풍암정 방면으로 가다보면 숲속에 묻힌 그를 만날 수 있는데 사촌의 후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