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동작충효길 고구동산길~현충원길, 서달산 ' 동작구의 지붕을 거닐다 ' (동작충효길 고구동산길~서달산~현충원길) ▲ 고구동산길 잣나무숲길 ▲ 서달산 정상 ▲ 현충원길 무더운 여름이 저물고 가을이 조금씩 세력을 다지던 초가을의 어느 평화로운 날, 일행들과 동작충효길을 찾았다. 동작충효길은 서울 동작구(銅雀區)가 야심차게 내놓은 도보길이다. 도보길 유행에 따라 제 주올레길, 지리산둘레길, 북한산둘레길, 서울둘레길, 해파랑길 등 온갖 둘레길이 생겨났는 데, 동작구도 그 시류를 타고 산과 공원, 한강을 잇는 도보길을 닦아 동작충효길이란 간판 을 내건 것이다. 여기서 충효(忠孝)는 동작구 관내에 있는 국립현충원과 노량진 사육신묘( 死六臣墓)에서 따온 명칭이다. 동작충효길은 총 7개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별로 넓지..
1. 호국지장사 대웅전 목조여래좌상과 아미타불도 (석가여래3존상)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여래좌상(가운데 금동불상)은 호국지장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10여 점의 지방문화재 중에 가장 최근 (2018년 8월)에 지정된 것이다. 2006년에 목조여래좌상을 개금했는데, 그의 뱃속에서 후령통과 저고..
1. 호국지장사 극락전에 있는 심초록 주 겹저고리 2006년 5월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개금하다가 그의 뱃속에서 심초록 주 겹저고리가 나왔다. 하여 문화재 위원의 점검과 자문을 구하여 용인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 보존처리와 보관을 의뢰했다. 이 저고리는 1630~1650..
1. 지장보살입상(지장전) 좌측에 자리한 삼성각 산신과 칠성(치성광여래), 독성(나반존자)의 거처로 정면 1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집이다. 저 안에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산신도와 칠성도, 독성도가 있으니 꼭 살펴보도록 하자. 2. 독성도와 독성상 독성도는 소나무 밑에서 바위에 기댄 채 ..
~~~ 국립현충원 서달산 호국지장사 (옛 화장사) ~~~ 호국신의 영혼터인 국립현충원, 그 꼬리 부분인 공작봉(서달산) 북쪽 자락에는 수백 년 묵은 호국지장사가 포근 하게 둥지를 틀고 있다. 호국지장사(이하 지장사)는 신라 후기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도선은 북쪽으로 하염없이..
1. 호국지장사(화장사) 청심당 - 청심당은 2015년 이후에 지어진 'ㄷ' 모습의 따끈따끈한 목조 건물로 선방 및 요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 2. 청심당에 걸린 단정한 모습의 화장사 현판 3. 호국지장사 감로도 원래 대웅전에 있던 것으로 근래 종무소 납골당으로 이전되었다. 1893년 금호약효 외 ..
1. 호국지장사 삼성각 칠성도와 석가불 삼성각 가운데에 자리한 석가불은 근래에 지어진 것으로 동그랗게 표현된 글래머한 가슴이 썩 눈길을 끈다. 그의 두툼한 얼굴에는 미소가 드리워져 있고 물레방아처럼 생긴 법륜을 왼손에 쥐고 있는데 법륜의 8개의 바퀴살은 팔 정도를 나타내며 ..
* 국립현충원 서달산 호국지장사 (화장사) 국립서울현충원의 진산인 공작봉(서달산) 자락에 포근히 둥지를 튼 호국지장사는 도선대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절에서 우기길 670년에 도선이 창건했다고 하나 도선은 신라 후기 사람이므로 시기부터가 틀려먹었다. 그가 이곳에 이르니 칡 덩굴..
* 국립서울현충원의 옛 주인, 창빈안씨묘역 국립현충원의 배꼽 부분에는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으로 명암이 너무 엇갈리는 이승만의 묘역이 있다. 바로 그 옆 소나무숲에 국립현충원의 옛 주인인 창빈안씨의 묘역이 있으니 꼭 둘러보기 바란다. 지금은 이정표가 그런데로 되어있지만 예..
' 6월 맞이 산사 나들이, 국립서울현충원 호국지장사(지장사) ' ▲ 호국지장사 지장전(지장보살입상) 국립서울현충원은 호국영령들이 잠든 이 땅의 영원한 성역(聖域)이다. 그러다보니 재미 없고 딱딱하며 어려운 곳으로 여기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서울에 살고 있어도 학창시 절 소풍이..
☆ 서달산 달마사 ★ 백운고개를 넘어 북쪽 숲길을 올라 국립현충원 상도출입문에 이르렀다. 여기서 어디로 갈까 궁리하다가 서달산의 정상인 동작대를 찍고 중앙대 방면으로 내려가기로 하였다. 그렇게 가다가 서달산 정상 북쪽 밑에 자리한 달마사를 지나가게 되었지. 하여 절을 잠깐 ..
☆ 국립현충원 호국지장사(화장사) ★ 호국지장사는 현충원의 꼬리 부분에 해당되는 공작봉(서달산) 숲속에 자리해 있다. (현충원 뒷쪽임) 원래 이름은 화장사로 신라 후기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허나 '봉은본말사지'에 1577년 선조가 창빈안씨묘역 부근에 절을 세워 원찰로 삼..
* 동작충효길 2코스인 현충원길(3.4km)은 동작역에서 현충원 동쪽 경계길을 따라 현충원의 남쪽 후문이라 할 수 있는 상도출입문까지 이어지는 숲길이다. 숲이 매우 무성하며 현충원 경계 철책을 따라 이어지는 이색 길로 중간에 현충원으로 인도하는 출입문이 2개(상도, 사당)가 있고, 사..
* 국립현충원을 품은 서달산 정상 (해발 179m) 서달산 정상은 현충원 서남쪽에 자리해 있다. 숲이 무성한 정상 주변은 달마공원 영역으로 쉼터와 정상 표석, 동작대, 운동시설 등이 있다. 동작구에서 가장 하늘과 가까운 곳으로 동작충효길 고구동산길이 지나가며, 산 자락에는 서달산자락..
* 서달산 생태육교 흙으로 두툼하게 조성된 육교 밑에는 흑석동과 상도동을 잇는 도로가 흐른다. * 서달산 생태육교에서 바라본 흑석동과 한강, 남산 * 새집 장식을 많이 머금은 나무 조각품 * 서달산자락길 안내도 * 서달산 자락길 서달산 서남쪽 자락에 조성된 길로 현충원 서남쪽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