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1. 흥국사 명부전 약사전 옆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을 지닌 명부전이 있다. 나한전과 거의 쌍둥이꼴의 건물로 지장보살과 염라대왕 등 명부(저승)의 주요 식구들이 봉안되어 있다. 2. 곱게 생긴 명부전 지장보살상과 붉은 색채의 지장탱 3. 수륙재 용으로 많이 쓰이는 명부전 감..
1. 흥국사 약사전 약사여래좌상과 약사후불탱 약사전의 주인장인 약사여래좌상은 18세기 후반, 약사전을 크게 확장하면서 장만한 것으로 얼굴 볼 부분에 살이 많아 좀 뚱뚱하면서도 포근한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훤하게 드러낸 우견편단으로 그의 왼손에는 다른 약사 불..
* 고양시 한미산(노고산) 흥국사 한미산이라 불리는 노고산 남쪽 자락에 흥국사가 둥지를 틀고 있다. 약사불을 중심으로 한 약사도량으로 신라 중기인 661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믿거나 말거나 창건설화에 따르면 원효가 북한산(삼각산) 원효봉에서 도를 닦다가 느닷없이 서..
☆ 파주 임진각 국민관광지,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관광지 일대 ★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 오르면 임진각 국민관광지 일대는 물론 경의선 철교, 임진강, 임진강 너머 민통선 지역, 통일대교가 훤히 시야에 잡힌다. * 임진각 옥상 전망대에서 바라본 임진강과 경의선 철교 (새 철교..
☆ 제3땅굴 ★ 제3땅굴은 땅굴 파기 전문인 북한이 남침용으로 뚫은 땅굴의 하나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그들의 땅굴 가운데 가장 서울과 가까운 위치로 거리도 불과 52km에 불과하다. 만약 그 땅굴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아찔한 상황을 맞았을지도 모르겠다. 1974년 북한에서 남침땅굴 측량..
☆ 민통선에 자리한 파주 도라산전망대 ★ 도라산전망대는 서부전선 군사분계선 최북단에 위치해 있다. 도라산(해발 156m) 산정에 누워있는 이곳은 기존 송악산 OP(관측소)가 폐쇄되면서 1986년에 급히 지어진 이북 전망대로 1987년 1월 일반에 공개되었다. 도라산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
★ 민통선에 자리한 경의선의 북쪽 종점, 도라산역 ★ 경의선은 서울에서 금촌, 개성, 사리원, 평양, 안주를 거쳐 신의주까지 이어지는 499km의 철로이다. 그러니 경의선의 북쪽 종점은 압록강과 가까운 신의주역이 된다. 허나 해방 이후 이 좁아터진 땅이 소련과 미국, 두 강대국 떨거지들..
☆ 파주 임진각과 장단역 증기기관차 ★ 장단역 증기기관차는 6.25 시절,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완전히 뒤집은 국군과 유엔군이 한참 북진을 하던 때, 그들의 군수 물자를 싣고 평양 방면으로 향했던 열차이다. 허나 중공 짱깨 잡종군의 불법 인해전술 공격으로 그 임무를 수행치 못하..
☆ 남북분단이 빚은 산물, 파주 임진각 (임진각 국민관광지) ★ 파주 임진강변에 자리한 임진각은 1972년에 조성된 일종의 통일 안보관광지이다. 처음에는 임진각 건물과 망향단, 자유의다리, 장단역 부근에서 가져온 증기기관차, 남북분단 관련 여러 조형물과 탑이 전부였으나 바람의언..
* 고양시 대자산 자락에 자리한 최영장군묘 최영장군은 고려를 지킨 마지막 보루로 80여회의 전투를 모두 승리로 이끈 고려 제일의 장수이다. 충청도 홍성 출신으로 최원직의 아들이며, 금을 돌보듯 하라는 부친의 뜻에 따라 금은보화를 멀리하고 아주 검소하게 살았다. 무예가 아주 출중..
* 대자동 필리핀참전비에서 최영장군묘, 고양동으로 인도하는 길 (고양동누리길) 고양동누리길은 고양시의 야심작인 고양시 둘레길의 하나로 필리핀참전비에서 최영장군묘, 대자산, 고양향교, 중남미문화원, 고양동시내, 선유동(선유랑마을)을 거쳐 안장고개로 이어지는 7.1km의 도보길..
' 가을의 길목에서 만난 쌍미륵불 ~ 파주 용미리 석불입상(龍尾里 石佛立像)' ▲ 용미리 마애2불입상 (용미리 석불입상) (* 용미리 석불의 문화재청 지정 명칭은 '용미리 마애2불입상'이나 오랫동안 용미리 석불입상, 용미리 석불이라 불렸으므로 본글에서는 이들 명칭을 같이 썼음) 늦가을..
' 한겨울 산사 나들이 ~ 파주 보광사(普光寺)' ▲ 보광사 목어 겨울의 제국이 강추위로 천하를 부들부들 떨게 만들던 겨울의 한복판에 파주(坡州)에 있는 보 광사를 찾았다. 이곳은 어린 시절에 2~3번 가본 인연이 있는 곳으로 구파발역에서 파주시내버 스 333번(금촌↔구파발)을 타고 보광..
* 고령산 자락에 자리한 보광사는 신라 후기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조선 영조 때는 인근 소녕원(영조의 생모인 숙빈최씨의 묘역)의 원찰이 되어 왕실의 두둑한 지원을 받았고, 소녕원을 참배한 영조 임금은 이곳에 꼭 들렸다. 경내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대웅보전과 숭정7..
* 조선 후기에 무악재에서 효자동까지 매일같이 인왕산 호랑이를 타고 부모의 묘를 찾아 시묘를 한 박태성효자비 (효자동이란 지명은 바로 여기서 유래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