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1. 하조도 모래개(모리개)해변 하조도 서쪽 끝이자 손가락산 밑에는 모래개해변이 있다. 하조도는 신전해변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신전보다는 이곳 모래 개해변이 더 좋다고 한다. (현지 사람들의 의견) 거의 섬 주민들만 알고 있는 숨겨진 해변으로 해변 흙은 단단하며, 해변 길 이는 600m..
1. 상조도 도리산전망대 (서쪽 전망대) 도리산전망대는 360도 조망이 가능한 일품 조망대로 조도군도 식구들 대부분이 시야에 들어온다. 서쪽과 동쪽 2개의 전망 대를 지니고 있는데, 동쪽 전망대가 도리산 정상(해발 210m)이며, 아랫 사진은 서쪽 전망대이다. 이곳에 가려면 상/하조도의 관..
* 하조도의 오랜 단짝인 상조도 하조도 서북쪽에는 조도의 일원인 상조도가 있다. 이름 그대로 윗쪽에 있는 조도로 조도대교가 상조도와 하조도를 끈끈하 게 붙잡고 있다. 섬의 면적은 10.37㎢, 해안선 길이는 22㎞로 조도군도에서 하조도 다음으로 큰 섬이다. 삼국시대 때는 탐라(제주도)..
1. 안개에 잠긴 하조도등대 주변 (운림정에서 바라본 모습) 바다는 날씨가 변화무쌍하여 금세 한 무리의 안개가 몰려와 주변을 싹 가려버렸다. 저 두툼해보이는 안개 속에는 바다와 하 조도등대가 숨겨져 있다. 2. 하조도등대에서 바라본 운림정 운림정은 하조도등대 서남쪽 산능선에 닦..
1. 맵시가 좋은 하얀 피부의 하조도등대 (하조도항로표지관리소) 하조도 동북쪽 끝으머리에 자리한 하조도등대는 1909년 2월에 세워진 목포지방해양수산청 소속 유인 등대이다. 광파 기종 은 KRB750(220V-700W), 등질은 섬백광 10초 1섬광(F1W10s), 광달거리는 지리적 19마일, 광학적 43마일, 명목적 ..
1. 하조도 창유항으로 가는 배에서 바라본 조도대교 진도항(팽목항)에서 배로 30분 거리에 있는 하조도는 조도군도의 일원이자 중심 섬으로 154개의 크고 작은 섬이 마치 새 떼처럼 모여있다고 해서 조도라 불리게 되었다. 순 우리말로는 새섬이라 부르며, 유인도가 35개, 무인도는 119개에 ..
1. 세월호의 아픔이 서린 진도 팽목항(진도항) 진도 서남부 끝으머리에 자리한 진도항은 하조도(창유항)로 가는 배가 오가는 항구이다. 봄이 한참 익어가던 2014년 4월 16 일 세월호 침몰 때 참사 현장에서 가까운 이곳에 현장사무소와 유가족과 자원봉사자들이 머무는 집이 설치되었으며, ..
* 해남 달마산 도솔암 달마산 남쪽 능선에 높이 자리해 구름을 벗삼은 도솔암은 7세기에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한다. 허나 신빙성은 없으며, 절이 들어서기 이전부터 아주 기가막힌 자리라 산악신앙의 현장이나 수행 공간으로 쓰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1597년 왜군이 서해바다로 진출..
* 해남 달마산 도솔암 달마산 남쪽 능선에 높이 자리하여 구름을 벗삼은 도솔암은 섬과 잃어버린 옛 땅을 제외한 본토에서 제일 남쪽에 자리한 오래된 절이다. (미황사가 남쪽 끝이라고 하나, 도솔암이 복원되었으므로 도솔암으로 보는 것이 좋을듯함) 도솔암은 7세기에 의상대사가 창건..
1. 해남 달마산의 남쪽 지붕, 도솔봉 도솔봉 능선에는 이름 있는 암자인 도솔암이 있다. 도솔봉 남쪽 370m 고지까지 길이 구불구불 닦여져 있어 차량 접근이 가능 한데 여기서 도솔봉 능선길을 따라 12~15분 정도 가면 도솔암에 이른다. 도솔봉을 포함한 달마산 능선은 잘생긴 기암괴석들 이 ..
1. 미황사 경내에서 바라본 달마산(489m)의 위엄 남도의 금강산으로 칭송받는 달마산에는 미황사와 도솔암 2개의 오래된 절이 있다. (도솔암은 근래 복원됨) 산능선은 울퉁불퉁한 바위와 기암괴석으로 되어 있으며, 양쪽으로 바다가 조망되어 국보급 조망을 자랑한다. 2. 달마산을 후광으로..
1. 지붕 처마를 시원스레 들어올린 미황사 응진당(응진전) 응진당은 석가불과 그의 열성 제자인 16나한, 인왕상, 사자상, 동자상의 보금자리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다포 계열이며, 대웅전과 같은 1751년에 상량된 18세기 중순 건물이다. (대웅전 보수공사 때 대들보에서 ..
* 해남 제일의 경승지, 달마산 미황사 미황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의 말사이다. 제주도 등의 섬과 만주, 요동, 왜열도 등의 잃어버린 땅을 제외한 우리나라 육지에서 최남단 고찰(오래된 절)로 유명한데 비록 근래 재건되긴 했지만 남쪽에 도솔암이 있어 최남단 고찰..
1. 대흥사 별원의 중심인 대광명전 대흥사는 크게 북원(대웅보전 일대), 남원(천불전 주변), 별원으로 나눌 수 있다. 별원의 중심 건물인 대광명전은 1841년에 초의 선사가 세운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익공양식 집이다. 그 시절 전라수군절도사였던 위당 신관호(추사의 제자)..
1. 대흥사 3층석탑 대흥사의 중심지인 북원에는 신라 후기에 조성된 응진전 앞 3층석탑이 자리해 있다. 믿거나 말거나 전설에 따르면 7세기에 자장율 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불의 사리를 봉안한 사리탑이라고 한다. 2중의 기단과 3층 탑신, 머리장식(노반, 복발, 앙화, 보륜)을 충실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