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고흥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 우주를 꿈꾸며, 고흥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 ▲ 나로호(KSLV-1) 겨울 제국의 차디찬 바람이 옷깃을 더욱 여미게 하던 1월의 끝 무렵, 겨울의 핍박에서 잠 시 벗어나고자 일행들과 따스한 남쪽으로 길을 떠났다. 아침 일찍 번잡한 서울을 떠나 충북과 충남, 전북의 여러 지역을 거쳐 저녁 늦게 전남 여 수(麗水)에 이르렀다. 여수는 원래 계획에 없었으나 광양(光陽) 땅에 이르다보니 바다 남 쪽에 아른거리는 여수 땅이 갑자기 땡기는 것이다. 하여 그 마음 뜻대로 이순신대교를 건 너 여수로 진입, 환상적인 야경을 보여주는 여천공단을 가로질러 여수 도심부에서 흔쾌히 1박을 청했다. 첫날의 여독이 대단했는지 눕자마자 바로 잠이 들어 거의 9시간을 잔 것 같다. 아침 햇살..
1. 벌교 홍교 벌교읍내 서북쪽인 벌교천에 오래된 돌다리인 홍교가 있다. 예전에는 이곳에 뗏목을 이어서 만든 뗏목다리가 있었는데, 그 로 인해 이곳 지명이 벌교가 되었다. 1729년 선암사 승려인 초안과 습성이 돌다리로 만들었으며, 1737년 다리를 고치면서 3칸의 홍예다리를 만들었고, 19..
1. 능가사 대웅전 석가3존불과 후불탱 2. 대웅전 석가3존불의 중심인 석가불(석가여래좌상) 조선 후기 불상으로 얼굴이 거의 네모난 모습이다. 3. 석가불의 협시보살과 협시불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아미타불과 비로자나불) 4. 능가사 대웅전 칠성탱 1904년(갑진년, 광무8년)에 조성된 칠성..
* 팔영산 능가사 고흥 지역의 명산인 팔영산 북쪽 자락에 능가사가 고즈넉하게 누워있다. 이 절은 417년에 아도화상이 창건하여 보현사라 했다고 전하나 확실한 근거는 없으며, 본격적인 사적은 조선 중기에나 겨우 등장을 한다. 하여 실질적인 창건시기는 고려 나 늦어도 조선 초/중기로 ..
1.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옆 해변 (예내리 몽돌해변) 우리나라 우주 개척의 중심지인 나로우주센터 소속 우주과학관 옆에는 몽돌해변이 작게 펼쳐져 있다. 이곳의 지명이 예내리 라 예내리 해변(예내리 몽돌해변)이라 불리는데, 몽돌과 바다, 소나무가 어우러진 작고 아름다운 해변으..
1. 나로호(KSLV-1)와 그를 수식하는 KSR-1, KSR-2, KSR-3 나로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발사체로 2009년 8월 25일에 1차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2010년 6월 10일에 다시 시 도했으나 또 실패했으며, 2013년 1월 30일 드디어 성공하여 우주로 쏘아 보냈다. 나로호의 길이는 33m, 지름 2.9m, 무게는 140..
1. 동그란 모습의 호버만의 구 (Hoberman Sphere) 우리나라 최초로 제작 설치된 '호버만의 구'로 우주의 역동적인 팽창과 수축의 반복원리로 구성되어 있다. 우주 개발에 대한 의지와 염원이 담겨져 있으며, 우주탄생의 신비로움, 우주 개발을 위한 도전 정신, 우주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 우..
1. 우리의 인공위성 제1호, 우리별 1호 우리별1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이다.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 연구센터와 영국 써리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 로 1992년 8월 남미 쿠루기지에서 우주로 쏘아올렸다. 2.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모습 3. 우주선에서 먹는 우주식량들 (조리..
*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고흥군에서 가장 동남쪽 구석<배로 이동해야 되는 섬은 제외>인 외나로도에 우리나라 우주 개척의 중심지인 나로우주센 터가 있다. 우주센터 북쪽 입구에는 우주과학의 이해를 돕고자 2009년 6월 12일 우주과학관을 세웠는데, 지하 1층, 지상 2층 ..
1.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쌍봉사 경내 북쪽에는 쌍봉사를 세운 철감선사 도윤의 탑과 탑비가 있다. 철감선사(798~868)는 825년 당나라에 들어가 불 교를 공부했고, 847년 범일국사와 함께 귀국해 쌍봉사를 세워 구산선문의 하나인 사자산문을 열었다. 딱 70세가 되는 868 년에 쌍봉사에서 입적하..
* 화순 쌍봉사 화순 남부인 이양면에 자리한 쌍봉사는 송광사의 말사이다. 신라 경문왕 시절인 868년에 철감선사가 창건한 것으로 그의 도호가 쌍봉이라 절 이름을 쌍봉사라 하였다. 철감은 이곳에서 구산산문의 하나인 사자산문의 기초를 닦았으며, 그의 종풍을 이어받은 징효는 영월 흥..
1. 만연사의 명물, 배롱나무(백일홍) 대웅전 앞에는 적당한 덩치를 지닌 배롱나무가 있다. 그의 몸에는 푸른 잎을 지닌 붉은 연등이 많이 걸쳐져 있어 자연산 백 일홍과 감히 아름다움을 견주고 있는데, 햇님이 퇴근하고 달님이 세상을 장악한 밤에는 일제히 몸을 불살라 환상적인 야경 을..
1. 만연산 오감연결길 오감연결길은 큰재 밑에서 만연산 치유의숲센터까지 이어지는 3.1km의 늘씬한 숲길이다. 숲길의 경사가 완만하고 길이 느 긋해 정말로 머리와 마음이 치유될 것 같은 아름다운 길이다. 나는 큰재에서 만연산숲길을 따라가다가 그 서쪽 종점에서 오감연결길로 갈아타..
1. 만연산숲길 무등산의 일원이자 화순읍의 진산인 만연산에는 만연산숲길과 오감연결길, 치유숲길 등 3개의 테마 둘레길이 있다. 만연산 숲길은 큰재에서 오감연결길과 이어지는 1.4km의 숲길로 경사가 별로 없고 숲이 짙어 구름 위를 거니는 기분이다. 2. 만연산숲길에서 만난 돌너덜지..
* 화순읍의 진산, 만연산 (별칭 나한산) 화순읍내 북쪽에 자리한 만연산(해발 668m)은 산세가 완만하고 숲이 짙은 아름다운 산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일원으로 오감연결길(3.1km), 치유숲길(3.3km), 만연산숲길(1.4km) 등의 고운 둘레길이 닦여져 있으며, 고려 중기에 창건되었다는 만연사란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