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1. 선릉 수복방 정자각 동쪽에 자리한 수복방은 맞배지붕을 지닌 조그만 2칸짜리 집으로 선릉을 관리하는 사람이 일을 보거나 생활을 하던 곳이다. 선릉 제향 때는 여기서 제사음식을 준비하기도 했다. 2. 솔내음이 그윽한 선릉 숲길 3. 야트막한 언덕에 자리한 선릉 성종 능침 4. 선릉비가 들어있는 비각 선릉의 주인을 알려주는 지붕돌 비석을 머금고 있다. 세종의 영릉까지는 신도비를 주로 세웠으나 문종부터는 지붕돌 비석 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5. 비각에 감싸인 선릉비 6. 선릉 정자각 (선릉에 묻힌 성종과 정현왕후 윤씨에게 제를 지내는 건물) 7. 선릉 정자각 돌계단 왼쪽 계단은 제왕 전용, 오른쪽은 신하와 아랫것들 전용이다. 지금은 어느 계단을 이용하든 상관이 없으나 옛날에는 사람들 을 철저히 가리..
1. 푸른 언덕 위에 들어앉은 선릉 성종 능침 2. 정자각 내부에 있는 여러 제사상들 (축상, 향상, 준상, 관세상 등) 평소에는 먼지만 가득하나 1년에 딱 이틀뿐인 선릉 제향(성종, 음력 12월24일 / 정현왕후 윤씨, 음력 8월 22일) 때는 제사상 으로 바쁘게 쓰인다. 3. 정자각에서 바라본 선릉 향로(오른쪽)와 어로(왼쪽) 4. 선릉 수라간 정자각 서남쪽에 자리한 수라간은 3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선릉 제향 때 음식을 만들거나 따뜻하게 손질하던 곳이다. 5. 석축 위에 높이 들어앉은 선릉 정자각 6. 짙게 우거진 선릉 동쪽 숲 7. 선릉 예감 우물처럼 생긴 작은 공간으로 제향에 사용된 축문을 태워서 묻던 곳이다. 8. 선릉 신로 정자각 동쪽으로 박석이 입혀진 길이 숲속으로 뻗어가고 있는데, 이 길..
1. 강릉 능침 강릉은 조선 13대 군주인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이다. 사초지 위에 자리한 강릉 능침은 태릉과 마찬가지로 접근이 통제 되어 있어 이렇게 밑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된다. (강릉은 태릉과 달리 오랫동안 금지된 구역으로 봉인되어 있다가 2014년 봄에 비로소 봉인..
1. 비각에서 바라본 정릉 능침 - 저 높은 곳에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 닦여져 있다. 이곳 장명등은 옛 정릉에서 가져온 것으로 고려 양식을 계승한 4각형 석등이다. (정릉 제향일은 매년 양력 9월 23일) 2. 정자각에서 바라본 정릉 능침 3. 수라간 쪽에서 바라본 정..
1. 정릉 느티나무 정릉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가 2그루 있다. 하나는 재실 앞 나무이고, 다른 하나는 본 사진에 나온 능관리소 앞 나무로 추정 나이는 200년 정도, 높이 17m, 나무둘레 320cm이다. 봄이 한참 익어가는 4월의 한복판이건만(이때가 4월 중순이었음) 이들 느티나무는 아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