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1. 중종의 능인 정릉 선릉 동쪽이자 선정릉 정문 동쪽에 조선 11대 군주인 중종의 능 정릉이 있다. 중종 능은 처음에 중종의 2번째 왕후인 장경 왕후 능(희릉) 서쪽 언덕에 닦여졌으나 1562년 중종의 3번째 왕후인 문정왕후가 이곳으로 옮겼다. 기존 자리가 풍수상 영 좋지 못하여 옮겼다고 하나 실상은 중종과 같이 묻히고 싶은 욕심으로 그리 한 것으로 문정왕후가 사망하고 이곳에 묻히려 고 했으나 정릉 자리가 홍수 피해가 잦아 부득이 불암산 남쪽 자락에 따로 묻히니 그곳이 태릉이다. 하여 정릉은 중종 혼자 묻혀있다. (왕후가 홀로 묻힌 능은 많으나 제왕이 혼자 묻힌 능은 건원릉과 정릉 등 거의 없음) 2. 솔내음이 진한 정릉 서쪽 숲길과 얕게 파인 도랑(금천) 3. 정릉 예감 제향에 사용된 축문을 태워 묻..
1. 선릉 재실 선릉과 정릉 사이에 고즈넉한 한옥인 재실이 있다. (선정릉 정문에서 평지길인 선정릉 남쪽 숲길을 따라 선릉으로 가면 알 아서 나옴) 이 재실은 선릉과 정릉 제례를 준비하던 곳으로 능 제향에 앞서 제관들이 미리 들어와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제사를 준비 했다. 평소에는 능을 관리하는 참봉이 거주하면서 능역을 지켰으며, 향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례업무를 담당하는 전사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행랑채 등을 지니고 있다. 건물에 단청은 하지 않았으며, 재실 내부는 공개하고 있다. 선정릉은 매주 월요일 쉬며,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에는 문화의 날이라고 하여 무료로 개방한다. (이는 입장료를 받는 다른 왕릉, 궁궐도 마찬가지임) 2. 재실의 중심 건물인 전사청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
1. 푸른 언덕 위에 들어앉은 선릉 성종 능침 2. 정자각 내부에 있는 여러 제사상들 (축상, 향상, 준상, 관세상 등) 평소에는 먼지만 가득하나 1년에 딱 이틀뿐인 선릉 제향(성종, 음력 12월24일 / 정현왕후 윤씨, 음력 8월 22일) 때는 제사상 으로 바쁘게 쓰인다. 3. 정자각에서 바라본 선릉 향로(오른쪽)와 어로(왼쪽) 4. 선릉 수라간 정자각 서남쪽에 자리한 수라간은 3칸짜리 맞배지붕 집으로 선릉 제향 때 음식을 만들거나 따뜻하게 손질하던 곳이다. 5. 석축 위에 높이 들어앉은 선릉 정자각 6. 짙게 우거진 선릉 동쪽 숲 7. 선릉 예감 우물처럼 생긴 작은 공간으로 제향에 사용된 축문을 태워서 묻던 곳이다. 8. 선릉 신로 정자각 동쪽으로 박석이 입혀진 길이 숲속으로 뻗어가고 있는데, 이 길..
1. 강릉 비각 1칸짜리 비각에 깃든 비석에는 강릉(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주인을 머금은 비석이 담겨져 있다. (제왕과 왕후의 묘인 왕 릉과 태자/세자/후궁의 묘인 원의 필수 비석임) 2. 지붕돌을 지닌 강릉 비석 3. 강릉 비석(표석)에 쓰인 내용들 강릉 비석은 1753년에 조성되었다. 4. 강릉 ..
1. 강릉 능침 강릉은 조선 13대 군주인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이다. 사초지 위에 자리한 강릉 능침은 태릉과 마찬가지로 접근이 통제 되어 있어 이렇게 밑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된다. (강릉은 태릉과 달리 오랫동안 금지된 구역으로 봉인되어 있다가 2014년 봄에 비로소 봉인..
1. 태릉과 강릉을 이어주는 숲길 (고갯길 서쪽 구간) 불암산의 남쪽 끝을 잡고 있는 태릉~강릉 숲길은 숲이 매우 짙고 경관이 아름답다. 거리는 1.8km로 태릉 쪽 구간에는 조촐 하게 계곡도 흐르고 있으며, 중간에 야트막한 고개를 넘어야 되는데, 그 경사는 그리 각박하지는 않다. (두 다리..
1. 정자각에서 바라본 태릉 능침 태릉은 중종의 3번째 왕후인 문정왕후 윤씨의 능이다. 능침은 통제구역으로 묶여 있어 이렇게 밑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만 족해야 된다. (이는 다른 조선 왕릉도 마찬가지임) 2. 밑에서 바라본 태릉 능침 저 끝에 보이는 존재가 태릉의 중심인 능침이다. 3. ..
* 문정왕후 윤씨의 능인 태릉 태릉은 조선 11대 제왕인 중종의 3번째 왕후, 문정왕후 윤씨(1501~1565)의 능이다. 파산부원군 윤지임의 딸로 흔히 조선의 여제, 여왕이라 불릴 정도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고 남용했던 여인이다. 1517년 왕후에 책봉되었으며, 그의 아들이 불과 11세의 나이로 인..
1. 천장산 동쪽 자락에 포근히 기댄 의릉 (남쪽에서 바라본 모습) 2. 북쪽에서 바라본 의릉 능침 (앞에 있는 것이 선의왕후 어씨, 뒷쪽이 경종의 능) 3. 의릉 능역 (정자각, 비각, 능침 등) 4. 금천교와 홍살문 5. 홍살문에서 정자각으로 이어지는 참도 (어도, 신도) 6. 고색이 깃든 정자각 돌계..
1. 의릉 비각과 비석 의릉 비석은 1724년에 세워진 것으로 1730년 경종의 왕후인 선의왕후가 세상을 뜨자 비석 내용을 업데이트시켰다. 2. 정자각에 닦여진 제수진설도와 기신제 사진들 - 의릉 기신제는 10월 2째주 토요일에 열린다. 3. 정자각 제상 - 의릉 기신제를 지낼 때 제물을 올려놓는 ..
* 서울 의릉 의릉은 조선 20대 군주인 경종(1688~1724, 재위 1720~1724)과 그의 2번째 왕후인 선의왕후 어씨의 능이다. 경종은 숙종과 희빈장씨의 아들로 1690년에 불과 2살에 나이로 왕세자가 되었다. 1717년 숙종을 대신해 국정을 살폈으며, 1720년 숙종이 승하하자 그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경..
1. 정릉 숲길 - 2.5km의 숲길로 정릉의 꿀단지 같은 존재다. (정릉 앞->정릉약수터->정릉 서쪽 숲길->북악산길과 접한 정릉 남쪽 숲길->정릉 동쪽 숲길->정릉 정문, 정릉 뒤쪽을 가르는 사잇길도 있음) 2. 정릉 숲길에서 만난 쉼터 - 이곳은 정릉 능침의 바로 뒷쪽 언덕이다. 능침 주..
1. 북쪽에서 바라본 정릉 세계문화유산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정릉은 조선 태조의 2번째 부인인 신덕왕후(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 강씨는 조선 최초의 왕비로 그의 능인 정릉 역시 조선 최초의 능이다. (태조의 첫 부인인 신의왕후 한씨는 조선 건국 전에 사망함) 원래는 서울 도심 한 ..
1. 비각에서 바라본 정릉 능침 - 저 높은 곳에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 닦여져 있다. 이곳 장명등은 옛 정릉에서 가져온 것으로 고려 양식을 계승한 4각형 석등이다. (정릉 제향일은 매년 양력 9월 23일) 2. 정자각에서 바라본 정릉 능침 3. 수라간 쪽에서 바라본 정..
1. 정릉 느티나무 정릉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가 2그루 있다. 하나는 재실 앞 나무이고, 다른 하나는 본 사진에 나온 능관리소 앞 나무로 추정 나이는 200년 정도, 높이 17m, 나무둘레 320cm이다. 봄이 한참 익어가는 4월의 한복판이건만(이때가 4월 중순이었음) 이들 느티나무는 아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