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nowlove78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도봉산고양이의 블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누추하지만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많이 보러들 오세요 ~~! ☞ http://blog.naver.com/py1978
1. 정릉 숲길 - 2.5km의 숲길로 정릉의 꿀단지 같은 존재다. (정릉 앞->정릉약수터->정릉 서쪽 숲길->북악산길과 접한 정릉 남쪽 숲길->정릉 동쪽 숲길->정릉 정문, 정릉 뒤쪽을 가르는 사잇길도 있음) 2. 정릉 숲길에서 만난 쉼터 - 이곳은 정릉 능침의 바로 뒷쪽 언덕이다. 능침 주..
1. 북쪽에서 바라본 정릉 세계문화유산의 지위를 누리고 있는 정릉은 조선 태조의 2번째 부인인 신덕왕후(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다. 강씨는 조선 최초의 왕비로 그의 능인 정릉 역시 조선 최초의 능이다. (태조의 첫 부인인 신의왕후 한씨는 조선 건국 전에 사망함) 원래는 서울 도심 한 ..
1. 비각에서 바라본 정릉 능침 - 저 높은 곳에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신덕고황후) 강씨의 능이 닦여져 있다. 이곳 장명등은 옛 정릉에서 가져온 것으로 고려 양식을 계승한 4각형 석등이다. (정릉 제향일은 매년 양력 9월 23일) 2. 정자각에서 바라본 정릉 능침 3. 수라간 쪽에서 바라본 정..
1. 정릉 느티나무 정릉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가 2그루 있다. 하나는 재실 앞 나무이고, 다른 하나는 본 사진에 나온 능관리소 앞 나무로 추정 나이는 200년 정도, 높이 17m, 나무둘레 320cm이다. 봄이 한참 익어가는 4월의 한복판이건만(이때가 4월 중순이었음) 이들 느티나무는 아직도..
* 옛 돌다리의 성지, 중랑천 살곶이다리 한양대 밑 중랑천에 조선 초에 조성된 살곶이다리가 있다. 왕위에서 물러난 정종과 태종 형제가 서울 동부 지역으로 자주 외출을 가면서 그 편의를 위해 1420년 5월 세종의 명으로 짓기 시작했다. 허나 중랑천 너비가 넓고 홍수를 이겨내기가 힘들었..
☆ 천축사 대웅전 내부에 봉안된 비로자나삼신불도 ★ 대웅전 내부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비로자나삼신불도와 목조석가3존불이 있다. 비로자나3신불도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노사나불과 석가불을 중심에 두고 윗쪽에 4명의 보살, 좌우에 시방제불, 그 밑에 보살 2명과 범천, 제석..
☆ 도봉산 만장봉 밑에 자리한 천축사 ★ 천축사는 도봉산의 주요 고찰로 673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하여 옥천암이라 했다고 전한다. 허나 이를 증명할 역사적 기록이나 유물은 없는 실정이며, 고려 명종 때 영국사(도봉서원 자리에 있었음)의 부속 암자였다는 설도 있으나 이 역시 오리무..
☆ 도봉산 관음암 ★ 천축사에서 마당바위를 거쳐 서쪽 산길로 들어가면 첩첩한 산주름 속에 묻힌 관음암이 나온다. 이곳은 도봉산에 무수히 널린 절집의 하나로 해발 560m 고지에 자리해 있는데, 워낙 구석진 곳이라 절간같다는 말이 딱 어울리는 적막한 곳이다. 관음암은 무학대사와 태..
☆ 도봉산 원통사 ★ 도봉산 남쪽 봉우리인 우이암(관음봉) 밑에 원통사가 둥지를 틀었다. 하늘에 닿을 것 같은 높은 산중에 외롭게 자리한 이 절은 864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신뢰도는 떨어지며, 1053년 관월대사가 중창하고 1392년에 천은선사가 3창을 했다고 한다. 1810년 청화대..
☆ 하늘과 가까운 곳에 자리한 높은 산정의 절집, 도봉산 원통사 ★ 도봉산 남쪽 봉우리인 우이암(관음봉) 밑에 원통사가 자리해 있다. 높은 산중에 자리한 이곳은 864년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하나 신뢰도는 떨어지며, 1053년 관월대사가 중창하고 1392년에 천은선사가 3창을 했다고 한..
* 홍제천을 바라보고 있는 옥천암 마애좌상 (보도각 백불) 고려시대에 조성된 거대한 마애불로 조선 후기에 호분을 입혀 하얀 불상(백불)이 되었다. 태조 이성계와 흥선대원군의 부인인 부대부인민씨가 기도를 올린 곳으로 예로부터 서울 근교 기도처로 유명했다. 보도각은 마애좌상에 ..
* 도봉산 만장봉 동쪽 밑에 자리한 천축사 천축사는 신라 중기에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고려 후기에 지공대사가 제자인 나옹화상에게 이곳 경관이 인도 천축국 영취산과 비슷하다고 말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경내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비로자나괘불탱과 3신불도 등 불화 2점이 ..
' 호남의 오랜 중심지 ~ 전주 나들이 (전주한옥마을 명소들) ' ▲ 한벽청연의 현장, 전주 한벽당(寒碧堂) 큰바람이 일고 구름은 높이 날아가네 위풍을 해내(海內)에 떨치며 고향에 돌아왔네. 내 어찌 용맹한 인재를 얻어 사방을 지키지 않을소냐 * 한나라를 세운 유방(劉邦)이 항우(項羽)를 ..
* 서울을 위협하는 호암산의 기운을 막기 위해 조선 태조 때 세운 호압사 호압사 약사전에는 이곳의 오래된 보물인 석약사불좌상이 있다.
* 호압사 약사전에 봉안된 조선 초기 불상인 석약사불좌상 돌로 만들어 도금을 입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