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의 시내버스는 교통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은 교통수단이다. 현재 일반, 공영, 포함 41개 있으며 6개 노선, 일반과 좌석 노선은 35개이다. 주요 운수업체는 태영운송그룹의 계열사인 가야IBS, 동부교통, 김해BUS이다. 김해BUS는 8-1번이 핵심노선이며 공영버스와 운행하고 있다.
목차
1 노선
1.1 종류 1.2
2 3 차적의 운행 노선
3.1 도시형버스
3.1.1 간선버스 3.1.2
3.2 3.3 공영버스 (지선버스) 3.4 순환버스
4 타 지역 노선
4.1 시내버스 4.2 부산광역시의
5 차량
5.1 운행 차종 5.2
6 사진 7 바깥 고리 8 주석
노선[편집]
종류[편집]
45개 216대의 운행되고 있으며, 일반노선 40개 노선, 3개 노선, 1개 노선, 급행좌석노선 1개 있다.
노선번호 체계[편집]
한 자리 수: 간선버스 (시내 및 도시지역) 두 자리 수: (읍면지역)
10번대: 진영읍(10,11,12,14번) 20번대: 장유동(21,21-1,23,24,25,26번) 30번대: 주촌면(30,31,35번) 40번대: (44,진례공영1,진례공영2번) 50번대: 한림면(56,57,58-1,59-1번) 60번대: 생림면(60,61,59-1번) 70번대: (71,72,73,상동공영1,상동공영2번) 80번대: (82,대동공영번) 90번대: 창원시 (58,59,97,98번)
세 수
100번대: 김해대학-터미널 (100번이 유일) 200번대: 장유동-부산광역시간 급행 (207번, 220번) 300번대: 김해여객터미널-진영 본산 (300번이 유일)
공영버스: 지선버스 (대동면, 상동면, 지역)
운임[편집]
현행 운임 2013년 1월 12일부터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대체지급수단으로는 선/후불 교통카드사용이 가능하다. 이 지역의 공식 케이캐쉬에서 그린카드와 마이비에서 발행한 김해포유카드이며, 타 지역의 마이비카드도 할 수 있다. 2011년 5월 21일부터 부산광역시, 와의 통합환승제가 하나로카드 사용이 가능해졌다.
환승 시행 창원시내버스 동일하게 승차 후 1시간 범위로 무료 시행되었으나, 부산-김해경전철의 개통을 2010년 6월부터는 위해 하차 후 30분 조정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작업은 2009년 12월부터 전국 카드 승하차 단말기 교체 맞물려 진행되었다.[3]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종류
나이
카드 (원)
현금 (원)
좌석
(220번)
어른 (만 20세 이상)
1700
1800
좌석
(73·97·98·207번)
어른 (만 20세 이상)
1300
1400
청소년 (만 13세 ~ 19세)
1150
1250
청소년 (만 13세 ~ 19세)
1150
1250
어린이 (만 7세 ~ 12세)
1150
1250
어린이 (만 7세 ~ 12세)
1150
1250
일반
어른 (만 20세 이상)
1100
1200
청소년 (만 13세 ~ 19세)
800
900
어린이 (만 7세 ~ 12세)
600
650
김해시 차적의 운행 노선[편집]
도시형버스[편집]
간선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3
김해BUS
외동터미널
↔
롯데아울렛
대성사거리, 국민은행, 신한은행, 중앙치안센터, 김해중부경찰서
80
3-1
김해BUS
외동터미널
↔
죽림입구
수로왕릉역, 부원역, 신한은행, 김해중부경찰서, 동아그린아파트
40
8
가야IBS
삼계동
↔
부산대학교
(장전역)
생명과학고, 활천고개, 인제대학교, 구포역, 동래역
15~20
8-1
김해BUS
삼계동
↔
덕천교차로
백조아파트, 활천고개, 인제대학교, 구포시장, 구포역
20~25
10
김해BUS
봉하마을
↔
진영역
설창, 진영터미널, 진영신도시, 본산공단, 본산
55~100
21-1
가야IBS
외동터미널
↔
장유농협
수로왕릉역, 일동한신아파트, 주촌농협, 후포, 장유초교
10~15
58
가야IBS
삼계동
↔
창원대학교
북부동주민센터, 문화의전당, 김해생명과학고, 장유농협, 장유문화센터, 성산구청, 대방대동아파트, 경남도청, 창원대학교, 파티마병원, 창원터미널, 삼동, 종합운동장, 한서병원
50~70
59
가야IBS
삼계동
↔
창원대학교
북부동주민센터, 문화의전당, 김해생명과학고, 장유농협, 장유문화센터, 성산구청, 한서병원, 종합운동장, 삼동, 창원터미널, 파티마병원, 창원대학교, 경남도청, 대방대동아파트
50~70
58번의 방면 운행
97
가야IBS
선암
↔
창원대학교
선암다리, 지내동사거리, 못안마을, 영운초교, 활천고개, 장유스포츠센터, 성산구청, 대방동종점, 대방초교, 경남도청, 성심유치원, 우영프라자
49
좌석버스와 공동 운행
98
가야IBS
선암
↔
창원대학교
선암다리, 지내동사거리, 못안마을, 영운초교, 인제대학, 활천고개, 장유스포츠센터, 성산구청, 우영프라자, 성심유치원, 경남도청, 대방초교, 대방동종점
60
좌석버스와 공동 운행
지선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1
가야IBS
삼계동
↔
지내동
가야대학교, 구산백조아파트, 김해시청, 어방2주공, 인제대학교
10~15
1-1
가야IBS
삼계동
↔
지내동
북부동사무소, 구산백조아파트, 김해시청, 어방2주공, 인제대학교
10~15
4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봉림동
김해세무서, 김해시청, 불암동주민센터, 식만동, 가락동주민센터
100~110
5-1
가야IBS
외동터미널
↔
감분마을
일동한신, 내외동주민센터, 홈플러스, 구산백조아파트, 분성고교
20~25
6
가야IBS
외동터미널
↔
화목4통
김해여중, 동상동, 전하교, 도모도, 죽동
80~100
1일 3회 경유
11
김해BUS
내룡
↔
자여
신용삼거리, 진영터미널, 부곡, 좌곤리
90~120
12
김해BUS
진영자이
↔
진영
(좌곤)
진영터미널, 금병공원, 하계, 동산
100
14
가야IBS
외동터미널
↔
진영
(좌곤)
김해백화점, 구산백조A, 망천, 진영역, 진영터미널
15
21
가야IBS
외동터미널
↔
장유
(관동)
수로왕릉역, 일동한신, 장유농협, 석봉마을, 갑오마을
10~15
23
김해BUS
장유농협
↔
장유
(수가)
장유중학교, 용산, 율하리, 응달, 태정
60
24
김해BUS
장유농협
↔
장유
(신안)
범동포, 장유중학교, 신문, 용산, 율현주공
35
1일 6회 신안 경유
30
가야IBS
외동터미널
↔
주촌
(덕암리)
김해세무서, 수로왕릉역, 일동한신, 주촌농협, 석칠
80~120
31
김해BUS
외동터미널
↔
골든루트
중앙병원, 대법륜사, 의생명센터, 유진금속
30~40
35
김해BUS
외동터미널
↔
주촌
(양동리)
수로왕릉역, 김해세무서, 흥동, 농소, 부경축산
90~120
44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진영신도시
수로왕릉역, 흥동, 장유농협, 진례파출소, 하곤법
30
56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진영터미널
김해백화점, 부영6차, 망천, 한림정역, 가동
50
57
김해BUS
진영터미널
↔
모정
본산공단, 봉하마을, 장방리, 한림정역, 외오서
110~150
58-1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모정
동상동, 구산백조, 망천, 한림정역, 부평
105~165
59-1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봉림
김해백화점, 구산백조, 부영6차, 망천, 안하리
90~140
60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마사
김해백화점, 부영6차, 나전공단, 봉림리, 생철리
70~100
61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도요
김해백화점, 부영6차, 나전공단, 봉림리, 안양리
125~185
71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상동
(봉암)
김해백화점, 부영6차, 나전공단, 우계리, 매리
70
82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상동
(매리)
동상동, 김해시청, 주중리, 초정리, 조눌리
170~180
100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김해대학
내외동, 문화의전당, 구산백조, 활천고개, 인제대학교
25~30
300
김해BUS
외동터미널
↔
본산농공단지
부원역, 덕암공단, 병동공단, 진영역
6회
좌석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73
김해BUS
상동
(여차)
↔
구포시장
매리, 덕산, 월촌리, 조눌리, 안막, 강서구청(하행), 구포역
150~190
1일 2회 단 13:50 매리 15:20 한 번 운행
97
가야IBS
선암
↔
창원대학교
선암다리, 지내동사거리, 못안마을, 영운초교, 활천고개, 장유스포츠센터, 성산구청, 대방동종점, 대방초교, 경남도청, 성심유치원, 우영프라자
40
도시형버스와 공동 운행
98
가야IBS
선암
↔
창원대학교
선암다리, 지내동사거리, 못안마을, 영운초교, 인제대학, 활천고개, 장유스포츠센터, 성산구청, 우영프라자, 성심유치원, 경남도청, 대방초교, 대방동종점
40
도시형버스와 공동 운행
207
김해BUS
롯데아울렛
↔
덕천교차로
용산, 죽림입구, 율하중심상가, 중앙하이츠, 율하푸르지오, 주공율곡마을, 화촌윗마을, 세영리첼아파트, 장유농협, 외동사거리, 외동초교, 봉황역, 중부경찰서, 부원역, 김해시청, 활천역, 안동역, 경남은행, 선암다리, 평강역, 대저역, 체육공원역, 구명역, 구포초교, 구포시장
50
구 장유8-1번 좌석버스
220
김해BUS
장유병원
↔
하단역
삼문마을, 장유농협, 율하지구, 응달, 수가리, 부산경남경마공원, 강서경찰서, 을숙도
25~90
태영버스 221번과 공동배차
공영버스 (지선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대동공영
김해BUS
외동터미널
↔
덕산마을회관
김해세무서, 김해시청, 주중리, 초정리, 조눌리
150~180
상동공영1
김해BUS
외동터미널
↔
상동
(매리)
김해세무서, 활천고개, 인제대학, 우계리, 장척리
170~210
상동공영2
김해BUS
외동터미널
↔
상동
(매리)
김해세무서, 활천고개, 인제대학, 여차고개, 감로리
170~200
진례공영1
김해BUS
진영터미널
↔
진례파출소
강변, 하평, 진례역, 진영농공단지. 설창
70
진례공영2
김해BUS
진영터미널
↔
진례파출소
강변, 담안, 고모, 진영역, 설창
70
순환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2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외동터미널
내외동주민센터, 김해교육지원청, 부원역, 김해시청, 활천역, 어방동
20
7
동부교통
외동터미널
→
외동터미널
외동축협, 내동파출소, 연지공원, 김해교육지원청, 부원역, 김해시청, 활천역, 어방동
12
25
김해BUS
롯데아울렛
→
롯데아울렛
장유중학교, 장유출장소, 월산중학교, 장유고교, 장유도서관, 대청고교, 대청초교, 율하중심상가
15
외선순환
26
김해BUS
롯데아울렛
→
롯데아울렛
율하중심상가, 대청초교, 대청고교, 장유도서관, 장유고교, 월산중학교, 장유출장소, 장유중학교
15
내선순환
대동순환A
김해BUS
안막3구
→
안막3구
신동, 조눌, 월촌, 덕산, 감내, 원지
20
외선순환
안막3구 1회 운행
매리 기점 1회 운행
소감천 경유 3회 운행
대동순환B
김해BUS
안막3구
→
안막3구
원지, 감내, 덕산, 월촌, 조눌, 신동
20
내선순환
안막3구 기점 1회 운행
매리 1회 운행
소감천 3회 운행
타 운행 노선[편집]
창원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35
읍면
동양교통
대운교통
창원버스
대방동
↔
진영
(신용부락)
창원시청, 덕산, 용잠, 자여, 금산초교, 진영역, 한서병원
230
45
읍면
신양여객
경남대학
↔
진영
(신용부락)
합포구청, 마산역, 창원역, 자여, 금산초교, 진영역, 한서병원
210
170
간선
대운교통
동양교통
창원버스
창원대학교
↔
장유
창원의집입구, 대동그린코아, 럭키상가, 창원종합운동장, 창원중앙고등학교, 정우상가, 은아아파트, 대동백화점, 남양초등학교, 여성가족회관창원관, 남산터미널, 성산구청, 갑오마을, 대청고등학교, 장유농협
22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업체
운행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분)
비고
123
성원여객
구산동
(김해시)
↔
서구청
구산백조아파트, 농협김해시지부, 김해시청, 안동, 불암동, 대사리, 대저119안전센터, 강서구청역, 구포역(상행), 삼락동, 르네시떼, 감전동, 엄궁동주민센터, 동아대학교, 하단, 괴정시장, 서대신동, 부산대학병원
6~9
125
태영버스
불암동
(김해시)
↔
구포시장
선암, 수안, 주중리, 시례마을회관, 마산, 초정, 원지삼거리, 대동수문, 강서고등학교, 대저동, 강서구청역(하행), 구포삼거리, 구포역
40
전차량 저상버스
127
성원여객
김해시
(구산동)
↔
구포역
연지공원, 내외동파출소, 외동초교, 대동아파트, 한국아파트, 김해시외버스터미널, 김해시청, 안동, 불암동, 대사리, → → → 덕천교차로 → 구포역 → 강서구청역 → 대저119안전센터 → 평강
10~12
저상버스 운행
128-1
금진여객
김해시
(구산동)
↔
구포역
한덕아파트, 자성병원, 인제대학교, 화인아파트, 동성아파트, 한일여고, 불암동, 대사리, 평강 → 대저역 → 구명역 → → 구포역 → 강서구청역 → 대저119안전센터 → 평강
7~8
130
금진여객
김해시
(구산동)
↔
부산대학교
구산백조아파트, 농협김해시지부, 김해시청, 안동, 불암동, 대사리, 대저119안전센터, 강서구청역, 구포역, 덕천교차로, 남산정역, 만덕주공아파트, 미남교차로, 동래역, 명륜역, 부산대학교정문 → 장전역 → 부산대학교정문
7~9
저상버스 운행
221
좌석
태영버스
장유병원
↔
하단역
삼문마을, 장유농협, 율하지구, 응달, 수가리, 부산경남경마공원, 강서경찰서, 을숙도
25~90
김해BUS 220번과 공동배차
1004
급행
태영버스
구산동
(김해시)
↔
부산역
구산백조아파트, 김해시청, 불암동, → 체육공원역 → 구포대교 → 신모라(하행)/신모라 → 구명역 → 덕천교차로 → 구포시장 → 구포역 → 강서구청역(상행), 백양터널, 국제백양아파트, 가야시장, 롯데호텔·백화점, 서면역, 부산진시장, 부산진역
11
1004
심야
태영버스
구산동
(김해시)
↔
서구청
(충무동)
구산백조아파트, 김해여고, 김해시청, 안동공단, 선암다리, 구남역, 신모라사거리, 서부터미널, 사상우체국, 북부산세무서, 럭키아파트, 냉정고개, 개금삼거리, 서면역, 부산진시장, 부산진역, 부산역, 남포동, 자갈치역
20~30
차량[편집]
운행 차종[편집]
대부분의 마찬가지로 대우와 현대의 차량이 있다. 특히 김해시의 시내버스의 차량은 대우의 차량이 많고, 천연가스버스는 100% 현대의 차량이 이용되었으나, 공영버스(김해순환버스)를 시작으로 대우버스도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저상버스는 4번, 5-1번, 6번, 25번, 26번, 30번, 100번 노선에 운용되고 있다. 김해시 정책에 2009년 대차되고 100% 천연가스 운행하게 된다. 현재 일부 대우 이용되고 있다
차량 도색[편집]
김해 이전까지 경상남도의 있었다.[4] 그러나 2000년대들어 김해시는 시내버스 도색을 것과 김해시 자체 도색으로 바꾸었는데, 구체적으로 부산의 일반 도색(진하늘색+백색)을 김해시는 연두색+백색을 쓰고 있으며, 좌석버스는 부산의 도색(주황색+백색)을 김해도 똑같이 주황색+백색을 쓰고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버스는 경상남도의 표준 도색을 사용하고 있다. 8번의 쓰고 2008년 6월 경남도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3-1번은 부산-김해 경전철의 사용한다.
사진[편집]
김해시내버스 57번 차량.
김해시내버스 2번 차량.
시내버스 정류소.
바깥 고리[편집]
김해시 버스정보시스템
주석[편집]
↑ 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 M형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 김해시내버스 무료환승 승차후 1시간→하차후 30분, 《연합뉴스》 2010년 5월 21일 ↑ 파랑+노랑색의 21 도색으로 도색이다. 이쪽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