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win690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창원 용축계곡의 올괴불나무가 꽃이 피는 시기는 3월 10일 전후였는데 올해는 일주일 정도 꽃이 빨리 피는 것으로 보아 일찍 필 수도 있겠구나 싶어 용추계곡의 봄꽃을 담을 겸 아들과 함께 산행을 했다. 용추계곡의 제1교를 건너기 전 계곡의 초입에 피는 노루귀를 만나 사진에 남기고 찾은 곳이 올괴불나무가 있는 우곡사 넘어가는 계곡에 도착해서 찾아보니 다른 사람이 찾은 지, 얼마 지나지 않은 흔적을 남겨두었다. 엉뚱하게 고추나무를 올괴불나무로 착각을 하여 사진으로 기록을 하고 블로그에 올렸는데 씨방과 씨를 찍 다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 찍어 온 것은 고추나무이다. 고추나무의 가지에는 잎눈이 맺히기는 했지만, 아직 꽃이 피기에는 이른 모습이라 수피와 꽃눈만 사진으로 남겼다. 조추나무의 언린 가지 모습과 줄..
허성무 창원시장은 1월 22일 시청 접견실에서 박재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과 간담회를 갖고, 댐용수공급규정 개정을 강력하게 요구했다고 밝혔다. 허 시장은 ‘댐용수공급규정에 ▲낙동강 조류경보 발령일 ▲환경정책기본법의 하천수 생활환경기준에 따른 차등 납부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창원시는 해마다 약 90억원의 댐 용수 대금을 한국수자원공사에 원수비 명목으로 납부하고 있다. 허 시장은 작년 7월 30일에도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물값 납부 거부 검토’란 초강수를 두기도 했으며, ‘원수 수질이 회복되지 않는다면 정부지원금은 증가해야 한다.’고 수자원공사에 건의했다. 창원시 정수장의 취수 지역인 낙동강 ‘칠서 지점’에는 해마다 조류경보가 2017년 182일, 2018년 71일, 2019년 99일, ..
창원시 광려산 상투봉 자락에 복수초(福壽草)가 피었다는 소식을 지인에게 듣고 내서읍 복수초 군락지로 사진기를 메고 무작정 찾아갔다. 여러 정보를 종합하여 처음 도착한 곳은 복수초 군락지가 아니라 변산바람꽃 군락지였는데 예쁜 모양의 꽃을 발견하지 못해 산자락을 헤매다가 결국 삼계마을까지 철수한 후 전화로 대략의 위치를 다시 파악하고 복수초 군락지에 도착하니 변산바람꽃 군락지에서 만났던 분이 먼저와 촬영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창원에서는 복수초 자생지가 없는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몇 군데 더 있다고 한다.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목련강(Magnoliopsida),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복수초속(Adonis), 복수초의 학명은 A..
척삭동물문(Chordata), 조류강(Aves),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오리속(Anas), 댕기흰죽지의 학명은 Aythya fuligula Tufted Duck이다. 창원천의 하류 지역은 기수지역이라 다양한 철새들이 날아오는 곳이다. 2021년 설날 아침 만조가 지나는 시간에 창원천 하류 쪽으로 가보니 댕기흰죽지(tufted duck) 한 쌍이 유유히 헤엄치며 함께 먹이를 찾고 있다. 하천의 폭이 제법 넓은 편이라 선명하게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크기는 약 40cm 정도이고, 수컷은 흰색인 아랫가슴과 배를 제외한 몸 전체가 검은색이다. 뒷머리의 깃털이 길어 다른 오리류와 구별되고, 암컷은 몸의 윗면이 어두운 갈색이며 각 깃털의 가장자리는 붉은 녹색이다. 먹이로는 ..
척삭동물문(Chordata), 조류강(Aves),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오리속(Anas), 흰뺨오리의 학명은 Bucephala clangula (Linnaeus, 1785)이다. 창원천의 하류 지역은 기수지역이라 다양한 철새들이 날아오는 곳이다. 2021년 설날 아침 만조가 지나는 시간에 창원천 하류 쪽으로 가보니 홀로 유유히 먹이사냥을 하고 있는 특색있는 흰뺨오리(Bucephala clangula) 숫컷을 보았다. 접근하여 사진을 찍으려 하니 잽싸게 먼곳으로 도망을 간다. 크기는 약 45cm 정도이고, 목 위 머리부분이 녹색의 금속광택이 있다. 숫컷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뺨에 흰 반점이 뚜렷하여 쉽게 구별이 가능한 새이다. 먹이는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
창원용추계곡으로 봄꽃을 찾으러 갔더니 아직 봄꽃이 피는 시기가 일렀는지 다른 꽃들은 찾을 수 없었고 이제막 봉우리를 펼치는 분홍노루귀를 만났다. 현화식물문(Anthophyta), 목련강(Magnoliopsida), 미나리아재비목(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노루귀속(Hepatica), 노루귀의 학명은 Hepatica asiatica Nakai이다. 우리나라 노루귀의 꽃잎색상은 흰색, 분홍, 청색의 3종류가 있는데 창원용추계곡에는 흰색과 분홍색만 핀다. 매년 보아도 흰색보다 분홍노루귀 꽃의 크기가 작고 대신 흰노루귀 보다 일찍 꽃을 피운다. 노루귀의 꽃말은 인내이며, 숲속의 응달에서 얼음이 녹지 않은 상태에서 잎보다 먼저 꽃을 피운다.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에서 뭉쳐나..
합포구 완월동 609-75번지의 비탈사면 위에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보이는 비석이 하나 서 있다. 이 비석은 완월동 장군천 상부에 속하는 지역으로 학룡사 뒤편 절개지 위에 있다. 비석의 동쪽 방향에 『군철용지수육 軍鉄用地水六』이라는 한자로 쓴 여섯 글자가 있다. 군사용 철도부지라는 것은 알겠는데 『수육水六』이라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없다. 지인이 알려온 인터넷에 군철용지라 검색하면 블로그가 나온다 길래 검색하니 대곡산 능선을 따라 철鐵, 군철용지軍鉄用地, 군철용지수軍鉄用地水 등 여러개의 비석들이 소개 되어 있다. 합포구 지역을 잘 아는 지인에게 이 비석에 대해 물었더니 옛 마산으로 오는 철도를 왜육군들이 건설하여 사용했는데 당시 철도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대곡산과 경남대 일대를 물 공급지로..
척삭동물문(Chordata), 조류강(Aves), 두루미목(Gruiformes), 뜸부기과(Rallidae), 물닭속(Fulica), 물닭(Fulica atra)의 학명은 Fulica atra Linnaeus, 1758이다.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 저수지, 강 하구, 해안에 흔하게 분포한다. 약 39cm 정도의 크기이다. 곤충, 작은 어류, 식물의 줄기, 해조류 등을 먹는다. 암수의 색은 동일하며,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다. 눈은 적갈색이고, 이마와 부리는 흰색을 띤다. 어린새의 몸 윗면은 성조와 유사하나, 흑갈색 기운이 있다. 부리와 이마가 흰색을 띠며 부리 끝은 검다. 전체적으로 통통한 체형이며, 비행시 둘째날개깃 끝이 흰색으로 보인다. 헤엄을 치거나 물풀 위를 걷고 가끔은 잠수도 한다. 우리나라는 10..
척삭동물문(Chordata), 조류강(Aves), 기러기목(Anseriformes), 오리과(Anatidae), 오리속(Anas), 흰죽지의 학명은 Aythya ferina (Linnaeus, 1785)이다. 흰죽지의 크기는 약 45cm 정도이다. 수컷은 윗부리 등이 오목하며, 검은색 부리 중심이 청회색이다. 암컷의은 수컷에 비해 청회색 부분이 적거나 검은색이다. 먹이는 갑각류, 식물이 줄기, 뿌리, 수초, 벼과식물의 종자 등을 먹는다. 잠수성 오리류로 1~1.5m 깊이에 15~30초 동안 잠수하여 채식한다. 주로 먹이활동을 하는 곳은 물이 고인 못, 하천, 강 하구, 해안 등지에서 생활한다. 유럽 동부에서 바이칼호 주변까지 번식한다. 겨울에는 유럽, 북아프리카, 인도, 중국 동부, 한국, 일본에서 월동..
척삭동물문(Chordata), 조류강(Aves), 참새목(Passeriformes), 할미새과(Motacillidae), 할미새속(Motacilla), 검은턱할미새의 학명은 Motacilla alba ocularis이다. 검은턱할미새(White Wagtail)는 봄과 가을에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냇가나 하천 또는 농경지, 야산 등에서 관찰된다. 주로 동물성 먹이인 거미류, 곤충류를 주로 먹는다. 시베리아 동북부, 북극해 연안 등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와 하이난섬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몸길이 20cm, 날개길이 9.5cm, 꽁지길이 9.5cm이다. 얼굴이 흰색바탕에 검은색의 눈썹 선이 있으며 턱밑과 멱이 검은색이다. 등은 회색이며 배는 흰색이다. 꼬리는 검은색이며 가장자리깃은 흰색이다. 네이버지식백과 ..
웅천 명동 115번지(명제로324번길 25-9) 집 뒤쪽에 있는 삼포마을 신당神堂은 할매신을 모시고 있다. 이곳은 위치기반고도계가 해발 12m를 표시하고 위도 35°05'42"N 경도 128°43'48"E을 가리킨다. 삼포마을 신당神堂은 삼포마을 뒷산의 초입부에 위치하여 마을 속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다. 마을 사람들에게 묻지 않고서는 신당神堂을 찾기가 쉽지 않는 곳이다. 신당神堂을을 보려고 찾아왔다고 마을 사람들에게 인사하고 물으니 이장에게 허락을 받고 신당을 볼 수 있다고 하여 삼포마을 이장 집으로 찾아갔다. 이장의 안내로 신당을 찾게 됐다. 신당을 보려면 웅천 명동 115번지 집을 지나야 하는데 집주인에게 먼저 인사를 하고 마당을 지나 집 뒤쪽으로 접근하면 바로 나타난다. 신당神堂은 시멘트블록으..
不生如思 即思若生 E-mail : win69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