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win690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밀양시 청도면 조천리槽川里에는 마을의 입구를 경계로 하는 청도면 조천리 245번지에 느티나무 노거수老巨樹가 마을 경계목境界木으로 있다. 남쪽으로 530m 떨어진 조천마을 앞 청도면 조천리 593번지에도 벼락 맞은 느티나무 노거수가 신목神木의 역할을 하며 쌍수雙樹의 위용을 자랑한다. 무안면 화봉리에서 청도면 조천리로 갈 수 있는 도로가 건설되어 있는데 현지 주민들만 아는 이 꼬부랑 길을 따라가면 당고개을 넘어 조천리槽川里에 접어든다. 조천리는 무시덤에서 내려오는 하천에 소죽통 같이 생긴 바위가 있다 해서 구유 조槽, 내 천川을 마을 이름으로 했다고 한다. 조천마을에서 600m정도 떨어진 마을 입구인 청도면 조천리 245번지에 위치한 느티나무 노거수는 밀양시가 1982년 11월 10일, 12-13-16호로 ..
무안면 화봉리 1557-2번지에는 화봉마을의 신목神木인 느티나무 노거수가 있다. 노거수의 앞에는 밀양시가 고유번호 12.13.11로 1982년 11월 10일에 보호수로 지정한 안내표식석이 있는데 수종은 느티나무이고, 나이는 400년, 나무높이 18m, 나무들레 7m라고 재원을 기록해 두었다. 나의 경험상 “공무원이 하는 모든 것은 의심할 필요가 있다.” 생각하고 여러 개의 느티나무 중 가장 오래됐을 것으로 보이는 안내표식석이 있는 나무의 재원을 재어 보니 가슴높이 둘레 7m, 밑둥 둘레 930m, 높이 15m이고, 나이는 500년으로 추정했다. 위치기반 고도계는 해발 56m를 기록하고 「위도 35°29'56"N 경도 128°37'50"E」를 가리킨다. 화봉리 신목이 보호수로 지정될 때에도 가슴높이 둘레가..
답사 장소를 따라 소답동 김종영 생가 앞 느티나무 보호수를 찾았습니다. 장소 : 의창구 소답동 131-14 지정일 : 1982.11.10 관리번호 : 12-4-1-1 나이 : 290년 나무높이 : 20m, 가슴높이 둘레 : 580cm 특징 : 미술교육의 선구자인 우성 김종영(1915~1982) 생가 대문 앞에 위치한다. 堂前古木 집 앞의 고목-默齋 河貞根(묵재 하정근 1889~1973) 樹老堂前綠滿陰 집 앞의 오래된 나무 푸르러 그늘이 그득한데 百年能保一春心 백년이 되어도 젊은 마음을 잘 보전하고 있네. 霜枝恠似橫鹿角 서리 맞은 가지 이상하게 생겨 사슴뿔 눕힌 것 같고 風葉颼如理古琴 우수수 바람에 떨리는 나뭇잎은 옛날 거문고 연주하는 듯 落日蒼蒼盤影遠 해질녘 울창한 둥근 그림자 멀리 뻗치고 封苔疊疊托根深..
노거수 신화 만들기 행사를 시작했습니다. 참석인원이 저조하지만 창원의집에 모여 박정기 박사에게 노거수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몇 분은 바빠 가셨지만 창원을 한바퀴 돌았습니다. 답사 장소를 따라 상남동 왕버들 보호수를 찾았습니다. 장소 : 성산구 상남동 42-1 지정일 : 2000년 3월 16일 관리번호 : 12-00-2호 나이 : 320년 나무높이 : 15m, 가슴높이 둘레 : 350cm 특징 : 토월천(兎月川)과 인접한 곳의 공원에 위치해 있다. 행사의 의미 창원시 소재의 전통문화유산인 노거수老巨樹를 정리하여 ‘역사의 사실’이 되게 하고, 새로운 문화적 요소와 인문학을 접목하여 ‘미래의 자산’이 되도록 발전시키고자 이 행사을 진행하게 되었다.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지역 작가들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예술..
杏壇老槐 향교의 늙은 느티나무 泮宮老槐幾經春 향교에 오래된 홰나무 몇 해가 지났던가 萬古風霜堪耐身 만고풍상을 감내한 몸일세 大殿位牌恒守近 대성전 위패 항상 가까이 지키었고 明堂講席每監隣 명륜당 강론 자리 이웃에서 살피었네 蔚昌玉葉儒林好 울창한 귀한 잎은 유생이 좋아하고 雄壯瓊枝學者親 웅장한 장한 가지 학문을 하는 사람 좋아했네 巨木長生誰不頌 큰 나무 오래 삶을 누가 칭송하지 않겠는가. 盡心保護萬人伸 진심으로 보호함을 만인이 펴리라. 牛山 南相珣
2019.10.30. 진동 동전리 묵지마을 입구 서어나무 풍경 동전리(東田里) 묵지(墨池)마을 입구를 지키는 서어나무 군락은 마을 진입로를 따라 도열하듯 위치해 있는데 처음 만나는 서어나무가 있는 곳의 주소는 진동면 동전리 97-1번지이다. 이곳은 위치기반 고도계가 해발 130m로 기록하고 「위..
2019.10.30. 진전면 양촌 숲의 푸조나무 노거수 진전면 양촌온천 지역 입구에는 『삼일독립만세 순국팔의사묘역(三一獨立萬歲 殉國八義士墓域)』있다. 이 묘역 방향으로 올라가는 작은 길이 있는데 이곳으로 오르면 『양촌원탕』의 주차장에 이른다. 작은 길의 우측은 삼진지역 순국팔의..
2019.7.2. 백암마을 신목 소나무 풍경 평암천(平巖川) 둑으로 만들어진 백양길은 현재로는 백암(白巖)마을 통행로인데 마을 위쪽의 백암저수지가 건설되기 전에는 평암리(平巖里)의 위쪽 미천(美川), 상평(上平)마을로 가는 옛 길목이었으나 지금은 진입로가 다르다. 진전면 평암리 1872번지..
2019.5.23. 창원 반계동 부곡당목 왕버들 노거수 『창원 반계동 부곡당목-왕버들』이 위치한 곳은 창원시 의창구 반계동 114-5번지로 팔용양묘장 입구 비갈 뒤쪽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 일대는 옛 평산, 죽전, 부곡마을이 있던 곳으로 지금은 예비군훈련장과 탄약고 등 군사시설지역이라 일..
2019.4.23. 대산면 가술리 당목 참나무 노거수 창원시 대산면 가술리 1110번지는 가술리 신동마을과 백양마을 사이의 들판에 위치한 곳으로 이곳은 해발 높이가 6m이며 「위도 35°19′32″N 경도 128°41′36″E」이다. 이 들판에 홀로 우뚝 선 이 참나무 노거수는 신동마을 사람들의 신목으로 예전에는 제례를 지냈으나 지금은 지내지 않는다. 다만 멀리서 굿을 하려고 찾아오는 무당은 간혹 있다고 한다. 『대산면 가술리 신동마을 당목』은 탁 트인 들판에 우뚝 솟아 그 풍광이 아름답기 그지없다. 나무의 가슴 높이 둘레는 280cm이며, 나무의 높이는 15m, 나이는 200년으로 추정 되고 수종은 상수리나무이다. 2019.4.23. 대산면 가술리 당목 참나무 노거수가 누렇게 보이는 것은 숫꽃이 달려 ..
△2019.4.15 북면 내감리 신목 팽나무 노거수 창원의 노거수를 찾아서 돌아다닌 지 벌써 5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그러다 보니 창원시의 웬만한 노거수와 마을 숲은 둘러보았다. 그런데도 오늘은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북면 내감계리의 신목(神木)인 어르신 나무를 만났다. 이 내감마을 신목이 자리한 곳은 마을 도로의 한 부분이라 지번은 창원시 북면 감계리 983-4번지를 찾으면 만날 수 있다. 이곳은 해발 높이가 64m이며 「위도 35°18′01.5″N 경도 128°35′28.5″E」이다. 원래 이곳에는 지금 남아있는 팽나무 노거수와 함께 회화나무가 있었는데 몇 년 전 태풍으로 노거수 회화나무는 부러져 사라지고 회화나무의 맹아로 남았던 두 그루 중 한그루가 그 자리를 차지하여 후계목(後繼木)이 되어 자라고 ..
2019.4.4 외산리 명촌마을 당숲 전경 창원시 북면 외산리 230-10, 20번지는 『북면 외산리 명촌마을 당숲』이 있는 곳으로 예전에 비해 마을 숲이 많이 사라진 상태이다. 이 명촌마을 당숲은 소나무로 이루어진 숲으로 옛 주물연진(主勿淵津)으로 가는 길목에 조성된 마을숲이다. 주물연진은 ..
△2019.3.18 동읍 봉곡리 평촌마을 당목 의창구 동읍 봉곡리 749번지에 위치한 “창원 동읍 봉곡리 당목 느티나무 노거수”는 동읍 봉곡리경로당에서 마을 뒤쪽으로 220m 지점에 있다. 현재 감나무농장 중심부에 있으며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 새벽에 마을 동제를 지낸다. 예전에 행사를 거창하게 지낼 때는 송아지 한 마리를 잡아 제물로 사용했을 때도 있었다 한다. 지금은 마을 주민이 십시일반 돌아가며 작은 성의를 표하는 정도이다. 당목 주위는 장방형의 시멘트를 설치하여 당목의 영역을 표시하고 당집을 지어 두었는데 당집 내부에는 초, 향, 제기 등이 비닐에 쌓여 보관되고 있다. 이곳에는 4그루의 나무가 있는데 북남방향으로 느티나무 2그루가 배치되었고 중간쯤에 당집이 있으며, 당집의 좌측 가까운 곳에는 높이..
2019.3.15 동읍 봉강리 전촌마을회관과 당목 동읍 봉강리 전촌마을은 진입로부터 옛 길임을 느끼게 한다. 전촌마을 앞을 지나는 대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30호선으로 1996년 7월 19일, 대구광역시 서구 ~ 경상남도 창원시 동면 구간을 대구 ~ 창원선으로 지정한 도로이다. 이 도로에서 마을은 ..
△2019.3.15동읍 본포리 마을회관에서 바라 본 당목 본포마을 뒤쪽 구릉의 중간정도에 “본포리 당목 적송 노거수”가 위치하는 곳으로 의창구 동읍 본포리 산 64-1번지이다. 이곳은 해발 40m이며 「위도 35°22′00″N 경도 128°38′52″E」이다. 이 본포리 당목의 주위는 감나무 과수원이라 원..
不生如思 即思若生 E-mail : win69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