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win690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2018.5.5. 거제 강망산의 발풀고사리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양치식물도 다양하고 아름다운 모습이라 이름이라도 알고 싶어 ‘한국 양치식물 도감’을 사서 양치식물을 만날 때마다 사진으로 담아 와서 비교해보지만 구별이 쉽지 않다. 이번에 강망산봉수를 찾았다 만난 발풀고사리는 모습..
2018.2.22 일본 입화마을 2018년 봄맞이 규슈 답사 2일째 날인 2월 22일에 호텔에서 식사를 마친 후 곧장 버스를 타고 후쿠오카(福岡) 타치바나산(立花山 367m) 원시 녹나무와 육박나무를 보기 위해 입화산으로 갔다. 버스에서 내린 곳은 입화산 자락에서 나오는 생산물을 파는 작은 가계가 있는..
<2014/9/18 정병산 숲길~용추계곡 : 길상사 위쪽> 넉줄고사리는 주로 큰 나무나 바위에 붙어 자라는데 뿌리줄기가 나무를 타고 가는 모양과 바위에서 뿌리가 뒤엉켜 자라는 모습이 매우 아름다워 관상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이라 집에서 조경용으로 기르는 사람도 많이 있다. 그리고 예..
<2014/4/15 구산봉의 관중> 마을 뒤산 구산봉 자락에는 양치식물들의 어린 순들이 초여름의 기운을 느끼는지 온통 땅을 뚫고 여기저기에서 올라오고 있다. 특히 군락을 이루고 특유의 모습으로 동그랗게 새순을 피워 올리는 관중(貫衆)의 모습은 예쁘다. 양치식물 면마과에 속한 여러해..
<2014/4/12 구산봉 쇠뜨기 포자낭수와 영양경> 쇠뜨기는 산이나 냇가 들판의 언덕 등 요즘 어떤 곳을 가더라도 쉽게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구산봉을 오르는 초입에 있는 무덤가에도 쇠뜨기가 지천에 널려있다. <포자낭수> 속새과 속새속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 쇠뜨기의 학명은 Eq..
<2014/4/11 봉림 구산봉> 창원 용추계곡의 상부에는 고사리삼이 꽤 많이 발견되지만 구산봉에서는 본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우연히 고사리삼을 만났다. 이제까지는 하나 밖에 보지 못했지만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니 찾지를 못했을 뿐 구산봉에도 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고사리삼은 ..
<2014/4/8 봉림 구산봉> 요즘은 어느 곳 할 것 없이 다양한 고사리들이 땅을 뚫고 올라와 어린순을 세상에 내어 놓는 시기이다. 마을 뒷산 구산봉(龜山峰) 자락에도 다양한 고사리들이 내어 놓은 여린 순들로 가득하다. 특히 하얀 털이나 약간의 갈색이 섞인 털들로 덮여있는 잔고사리가..
<2014/4/10 불모산> 내가 어릴 때 이곳 불모산 자락은 나물이 많이 나는 곳이라 어머님과 함께 산나물을 채취하러 다니던 곳인데 세월이 흘러 다시 와보니 어디가 어디인지 구분도 가지 않고 옛 산길은 흔적조차 없다. 불모산 둘레길에는 많은 양의 풀들이 있지는 않지만 개체 수는 적어..
<2014/4/7 봉림 태복산> 태복산(太福山)의 옛 지명은 태백산(太白山)으로 그 아래 봉우리를 구산봉(龜山峰)이라 칭한다. 이런 지명을 볼 때 김해의 구지봉처럼 나라를 열기위한 지명이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태백산이라는 지명과 구산봉의 명칭이 처음 사용된 때는 기록에 없으나 ..
<2014/4/7 봉림 구산봉> 요즘 구산봉에는 여러 가지 고사리들이 아기의 손 모양을 한 고사리의 순을 내어 놓기 시작했다. 일찍 나온 것은 활짝 잎을 펼친 것도 있고 아직 피지 못한 것도 많이 있다. 작년에 나온 잎이 시들시들하고 말라가고 있지만 새로운 생명을 내놓아 그 싱그러움을 ..
용추계곡의 양지바른 곳에서 서식하는 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인 단풍고사리삼의 학명은 Sceptridium nipponicum (Makino) Holub이다. 겨울에 단풍이 든다고 해서 단풍고사리삼이란 이름이 붙었다. 고사리삼과는 고혈압을 다스리는 약초로 사용하는데 겨울이나 봄철에 뿌리와 함께 전초를 케어 깨끗하게 씻어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독성이 없는 유익한 약초이다. 근경이 짧고 직립한다. 공통병 길이 2~6mm이고, 털이 없다. 영양엽 엽병 길이는 3~13cm이다. 엽신은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와 너비가 10cm쯤 된다. 열편은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겨울에 잎이 홍색으로 변한다. 포자엽 영양엽보다 길고, 포자가 산포된 후 고사한다. 포자낭수 원추상이고 2..
060307용추계곡 고사리삼 양치식물 고사리삼과(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센티미터 정도이고, 잎은 깃 모양의 겹잎으로 나며 줄기의 중앙 가까이에 붙는다. 포자낭군(胞子囊群)은 수수의 이삭 모양을 이룬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학명은 Botrych..
不生如思 即思若生 E-mail : win69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