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블로그를 개설하지 않으셨습니다.친구 신청을 하시려면 먼저 블로그를 개설해 주세요.
지금 개설 하시겠습니까?
친구가 되시면 친구의 새글 및 활동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win690님에게 친구신청을 하시겠습니까?
친구 신청을 했습니다.상대가 수락하면 친구가 됩니다.
친구 신청을 실패했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세요.
친구 신청 가능 수를 초과했습니다.
거창군에서 유일한 강씨 재실인 청은정聽隱亭의 기록을 보고 우선순위 1위로 정하고 찾아갔다. 위성지도로는 아무리 찾아도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양평리 가네들 마을에 있다.”는 『거창의 누정문화』 만 믿고 거창읍으로 갔다. 『거창의 누정문화』가 청은정聽隱亭을 찾았을 때 “건물이 퇴락하여 무너지기 직전이고 정자의 현판과 기문은 마을에 사는 후손들이 따로 보관하고 있다.”고 기록한 것으로 볼 때 시급하다는 것을 느꼈다. 우여곡절 끝에 마을에 살고 있는 강씨할머니를 만나 물었더니 모두 마을을 떠났고 건물은 헐고 밭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했다. 청은정聽隱亭은 가남 강세순의 유허로 가조 동산리에 있던 것을 1924년 그 손자 연수가 옮겨 세우고 강학하던 곳이었지만 지금은 기록속에서만 존재하는 거창군 유일의 강씨재실姜氏..
진주시 금곡면 인담리 1099-1(무선산로464번길 41)에는 진주강씨 은열공의 20세 되는 강달姜達을 향사하는 재실 인지재仁智齋가 있는 곳이다. 이 인담仁澤마을의 입향조 강달姜達 추모한 후손들이 건축한 인지재仁智齋의 대문에는 경모문景慕門이란 편액이 걸려 있고 본 당인 재실에는 인지재仁智齋란 이름으로 편액했다. 인지재仁智齋의 기둥에는 주련을 달았고 대청에는 최낙도崔洛道가 찬한 인지재기仁智齋記와 후손 극환克煥이 지은 인지재운仁智齋韻이라는 편액도 걸려 있다. 仁智齋記 晋治南二十里許 有仁澤里 山高土厚 地僻泉 明君子 可居之世也 姜氏 東方若姓晋陽之大閥也 通政大夫 諱達 殷烈公 諱民瞻 二十世孫 遭壬亂 避于南下入居焉 是爲始居之祖也 性 敦厚涥實常耕讀爲務 不 以外物爲心世間 當貴功名之事浮雲視也 若也儉於己而厚於人里人咸稱 長德..
의령읍 무전리 455-1(무전로 105-24)에는 진주강씨 박사공파 재실인 의양재宜陽齋가 있는 곳이다. 의양재宜陽齋에는 강희맹姜希孟의 후손으로 조선 말기 참서관參書官을 지낸 강영신姜永臣이 찬한 의양재상량문宜陽齋上樑文이 걸려있어 집안의 내용을 간략하게 알 수 있다. 대문에는 편액이 없고 기둥에도 주련은 없다. 대청의 문미門楣에는 의양재상량문宜陽齋上樑文만 걸려 있다. 지인이 이 재실과 인연이 있어 함께 방문하게 됐는데 함께 가지 못했다면 상량문上樑文을 보지 못해 엉터리 문장을 수정도 못하고 노출 시킬 뻔했다. 宜陽齋上樑文 惟歲乙丑二月初九日丙戌 前參書姜永臣 謹齊沐敢昭告于 上樑之神伏以 觀花石 貽謨敢妄 履霜露怵惕爰立 子姓善述之戒 蓋前世之未遑 丙舍禹謨之方 冝後人之己任 恭惟我六代祖考護衛府君 弧于漢北 宅於嶠南 世家望於..
의령군 의령읍 무전리 437(무전로 112-3)에 위치한 봉양재鳳陽齋는 임진왜란 때 곽재우장군을 도와 의령宜寧, 삼가三嘉, 합천陜川 등을 회복하는데 공이 큰 초정草亭 강언룡姜彦龍을 향사享祀하는 재실齋室이다. 의령 무전리에 봉양재鳳陽齋를 지은 것은 이곳 뒷산 350m지점에 초정강공草亭姜公의 무덤이 있기 때문이다. 봉양재의 대문인 솟을삼문에는 편액이 없고 본당에는 봉양재鳳陽齋라 이름했으며 편액의 글씨는 고종의 둘째 아들 의친왕義親王 이강李堈(1877~1955) 공公이 썼다. 기둥에는 주련이 없고 대청의 문루에는 이중철李中轍¹⁾이 찬한 봉양재기鳳陽齋記와 공암孔巖 허찬許巑²⁾이 찬한 봉양재상량문鳳陽齋上樑文이 걸려 있다. 대청의 정면에는 강언룡 선생이 받은 교지가 걸려있다. 鳳陽齋記 鳳德山南方之有名靈岳也 支分各走..
함안 월촌리 정암에서 남강을 넘어 의령으로 진입하는 남강변의 우뚝 솟은 봉우리 정상에 위치한 정암루鼎巖樓는 1978년 중수했다. 정암루 내부에는 당시 군수 정계수鄭桂守가 중건기문을 짓고 남상구南相九가 글씨를 쓴 중수기가 걸려있다. 정암루 아래의 남강에는 우리나라 3대 부자가 탄생한다는 솥바위鼎巖가 있어 유명해 졌는데 이곳이 옛 정암진 나루이다. 이 정암진은 임진왜란 때 나라를 구한 홍의장군 곽재우가 의병을 이끌고 갈대 사이에서 강을 오르던 왜구들과 전투를 벌여 혁혁한 전과를 올린 곳이다. 정암루중건기 鼎巖樓重建記 산과 물이 어울리는 곳에 絶勝이 많으나 鼎岩같이 생김이 奧妙하고 秀麗한 곳은 찾기 어렵다. 이 고을 眞山인 闍崛山 뫼줄기 東으로 내려와 龜龍山에 봉우리 짓고, 숨이 차서 智異山 흘러온 南江물을 ..
군북면 박곡리 306(박곡3길 59)에는 진주강씨姜氏齋室 박사공파 후손으로 박곡리 입향조이신 가선대부嘉善大夫 강상주姜祥周를 분향하는 재실 우모정寓慕亭이 있다. 이곳을 구글지도는 위도 35°16'19.5"N 경도 128°17'38.2"E를 가리킨다. 우모정寓慕亭은 근래에 짓다 보니 함안루정록咸安樓亭錄에는 기록이 없는 곳으로 박곡리의 강씨재실을 찾다 보니 만나게 된 곳이다. 솟을대문에는 치경문致敬門이라 편액했고, 본 재실은 우모정寓慕亭이라 이름했으며 4개의 기둥에는 주련을 달았다. 우모정寓慕亭 좌우에는 방을 넣었고 가운데는 마루로 했는데 마루 위에는 우모정기寓慕亭記, 우모정상량문寓慕亭上樑文과 원운原韻, 차운시次韻詩 5구가 걸려 있다. [해문] 전문 古樂無聲惟孝悌 옛 음악 소리 없이 오직 효제로 남고 松陰繞砌..
진주시 정촌면 관봉리 757번지 봉전마을에는 진주강씨 은열공파의 재실인 영모재永慕齋가 있다. 이곳을 위치기반고도계는 해발 63m를 표시하고, 위도 35°07'02"N 경도 128°08'59"E라 표시한다. 영모재永慕齋는 봉전마을 입구의 산속에 위치하는데 도로명주소는 없다. 그리고 마을과 떨어진 외진 곳이다 보니 마을 원주민이 아니면 있는지도 모르는 곳이다. 봉전마을에 처음 찾아간 모원재의 종손을 만나 물었더니 이곳을 알려줘서 찾게 됐다. 영모재永慕齋를 사진으로 남겨 왔지만 은열공파의 재실이라는 사실만 알았지 이 건물이 영모재永慕齋라는 것을 안 것은 영모재이건기永慕齋移建記를 보면서 확신하게 됐다. 대문에도 편액은 없고 재실에도 아무 편액이 없다. 아마도 이곳 역시 도둑이 들어 편액까지 훔쳐간 것으로 보인다..
진주시 정촌면 관봉리 1029(문정로 104-7)번지 봉동마을에는 진주강씨의 재실인 후산재後山齋가 있다. 이곳을 위치기반고도계는 해발 49m를 표시하고, 위도 35°07'39"N 경도 128°08'32"E라 표시한다. 이곳을 지키고 있는 분은 후손으로 비워 두었던 이곳으로 이사하여 살게 된 것은 도둑이 재실에 들어와 문짝을 훔쳐가고 여러 가지 집기들도 도둑 맞았기 때문이라 한다. 인근의 강씨 소유 다른 재실은 편액까지 훔쳐가는 바람에 혹시 후산재도 편액을 도둑 맞을까 염려하여 떼 놓았다고 한다. 그래도 편액 하나라도 사진으로 남기고 싶다고 하자 어렵게 가져온 것이 ‘봉강정사鳳岡精舍’라는 편액이었다. 후산재後山齋 이전에는 봉강정사鳳岡精舍로 사용하다가 이후 새로운 이름을 가진 것이 후산재 였던것 같다. 후산..
산청군 생비량면 화현리 1349-7(진산로2273번길 46-12)은 진주강씨 어사공御使公의 후예인 은암공隱菴公 강세재姜世載를 향화香火하기 위해 지은 재실齋室 대산재大山齋가 위치한다. 은암공隱菴公은 의령宜寧에서 이곳 산청군 사대士大마을로 이거移居한 입향조이다. 이곳을 위치기반고도계는 해발 77m를 표시하고, 위도 35°20'59"N 경도 128°04'21"E라 표시한다. 대산재大山齋를 방문하기 위해 생비량면 화현리를 찾았지만 의외로 넓은 지역이라 엉뚱한 곳을 기웃거리다가 방화마을에서 물었더니 사대마을의 위치를 알려 준다. 그렇게 찾은 대산재大山齋는 마을에 들어서면서 바로 찾았으나 대문이 잠겨있어 열쇠를 가진 분을 수소문하니 사대마을 이장이라 해서 겨우 담장을 넘어 대산재大山齋에 접근했다. 사대마을은 진양강..
의령군 의령읍 정암리 420-7(구룡로1길 94)에는 강기룡姜紀龍의 아들 감정監正 강우황姜遇璜을 향사하는 진주강씨 재실인 정강재鼎岡齋가 있다. 이곳을 위치기반고도계는 해발 24m를 표시하고, 위도 35°18'54"N 경도 128°17'02"E라 표시한다. 원래 정강재鼎岡齋는 홍의장군紅衣將軍 기념공원을 건설하면서 새롭게 건설한 도로에 포함되어 지금의 위치인 정암리 백야마을 입구로 옮겼다. 지금 그 자리에는 기로계耆老契 11분을 소개하는 유촉비遺囑碑가 있다. 정강재鼎岡齋는 낮은 돌담장으로 경계를 표했고 대문은 없으며 4간의 정통 한옥인 기와집이다. 5개의 기둥에는 주련이 걸렸고, 중앙에 정강재鼎岡齋라 편액 했으며, 편액과 주련의 글씨는 성파星坡 하동주河東洲가 썼다. 내부에는 정강재창건사실기鼎岡齋創建事實記, ..
진동면 태봉리 397(태봉1길 358-9)에는 하산조씨夏山曺氏(창녕조씨) 임난선무원종공신壬亂宣武原從功臣인 조명봉曺鳴鳳을 기리는 광양재匡陽齋가 있는 곳이다. 구글지도는 위도 35°09'26.3"N 경도 128°30'13.8"E를 가리킨다. 대문에는 죽간문竹澗門이라 편액 했고, 본당은 광양재匡陽齋라 편액 했으며, 기둥에는 주련을 달았다. 대청마루 위에는 이우섭李雨燮이 쓴 광양재기匡陽齋記와 조희태曺熙台의 원운原韻 및 조규형曺圭馨의 차운次韻 등이 있으며 좌우의 방에는 영사실永思室 화수헌花樹軒의 편액이 걸려 있다. 柱聯 壟雲瞻望倍增感慕 구름 낀 언덕 아득히 바라보니 사모함이 배나 더하고 古里來梓必恭敬止 옛 마을 가래나무 찾으니 반드시 공경하게 되네 百源孝水涓涓不渴 백가지 중 근본인 효는 졸졸 흐르는 물처럼 나오지..
구산면 구복리 111(구복길 37-31)에는 김녕김씨金寧金氏의 재실인 영사재永思齋가 있다. 구글지도에서는 「위도35°04'14.1"N 경도128°34'07.9"E」라 표시한다. 이곳 영사재永思齋는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의 현손玄孫으로 임진왜란의 공으로 군위현감軍威縣監을 지냈던 김승전金承田의 셋째 아들인 재성再成이 밀양에서 이곳 구복龜伏으로 이거하여 300여년이 넘도록 살아온 세장지世庄地이다. 대문에는 념수문念修門이라 편액 했고, 재실齋室에는 영사재永思齋라 했으며, 4개의 기둥에는 주련을 달았고 문미門楣에는 죽계竹溪 안용호安龍鎬가 쓴 영사재기永思齋記가 걸려있다. 永思齋記 義昌治南一舍許 龜山面背山而案海 有坊焉者 曰龜伏 曠如奥如泉甘土肥佳氣扶 與卽金寧金氏世庄也 而甍簷翠飛棟宇 輪奥掩映於雲烟之際者 其先世墳菴也 十代冑..
대곡면 덕곡리 670(마진한실로 11)는 남강이 용트림을 하듯 흘러오다 진성면과 대곡면을 가로 지르는 곳에 혈을 맺었다. 그곳에 전주이씨의 오당吾戇 이인첨李寅瞻과 남하南下 이두빈李斗贇을 기리는 송월정松月亭이라는 정자亭子를 마련했다. 이곳은 위치기반고도계가 해발 44m로 표시하고 「위도35°13'28.2"N 경도128°11'55.4"E」라 표시한다. 송월정 앞에는 높이 22m, 가슴높이 둘레 343cm, 나이 150년 정도의 팽나무 노거수가 우뚝 서 있어 자전거 동호인들의 쉼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송월정의 좌측에는 『완산이진선처유인김해김씨렬행비完山李震善妻孺人金海金氏烈行碑』가 비각에 모셔져 있다. 솟을대문에는 숭모문崇慕門이라 편액했고 본정에는 송월정松月亭이라 편액했다. 기둥에는 주련을 걸었으며, 마루 ..
진주시 대곡면 월암리 824-1(월암로357번길 51-6)에는 진주강씨晉州姜氏 은열공殷烈公의 후손 월강月岡 강용근姜容根이 학문을 닦기 위해 지은 집이다. 이곳은 위치기반고도계가 해발 74m로 표시하고 「위도35°18'34.9"N 경도128°09'34"E」라 표시한다. 대문에는 편액이 없고 건물의 마루 위에 월곡정사月谷精舍라 편액 했으며, 성환혁成煥赫의 월곡정사기月谷精舍記, 강용근姜容根의 월곡정사기月谷精舍記와 김황金榥이 쓴 월곡정사명月谷精舍銘 및 시가 편액으로 걸려 있다. 月谷精舍記 余與月岡姜君容根相知 在弱冠時 逮於晩寓矗城 去其居稍近 則君數見過 過必以所著詩文相示勿要言 其疵病 余輒以意言之 君亦無所壓之 往歲君別構一屋於家側 以坊里名扁之曰 月谷精舍 請余記而言曰 吾之爲此 非如人之適起居安顔養之爲謀 盖欲晨夕於此 以究詩..
진주 대곡면 월암리 830-1(월암로 357번길 43-20)에는 진주강씨晉州姜氏 은열공殷烈公의 후손 강환姜晥을 모시는 재실이 있다. 이곳은 위치기반고도계가 해발 85m로 표시하고 「위도35°18'34"N 경도128°09'30"E」라 표시한다. 마을 가장 안쪽에 위치한 월양재月陽齋는 종손宗孫이 살던 집인데 이사 가면서 재실齋室로 꾸며 사용하는 집이라 한다. 대문에는 소원문溯源門이라 편액하고, 본당은 월양재月陽齋라 했으며 기둥에는 주련이 걸렸고, 마루 위에는 월양재기月陽齋記가 걸려 있다. [전문] 嵌巖峆崉洞壑窈深 험준한 산은 첩첩하고 골짝은 깊고 깊으며 龍塘澄淸澗水不竭 龍塘은 맑고 맑으며 계곡 물은 마르지 않네 箕裘弓冶無忝所生 세업을 잘 이어서 조상 욕되지 않게 하니 霜露春秋有臨如謁 봄가을에 이슬 서리 내리..
不生如思 即思若生 E-mail : win69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