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2011년 10월 20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제2차 워크숍 (2008년 3월)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제2차 워크숍 (2008년 3월) [자료집] 2차워크숍 -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hwp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자료집] 2차워크숍 -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hwp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20 2011년 10월 20 자활참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법리적 해석 (권두섭, 질라라비 64호)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자활참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법리적 해석 (권두섭, 질라라비 64호) 질라라비 64호 (2008년 7월) 자활참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법리적 해석1) 권두섭(변호사, 민주노총 법률원) 아래의 내용은 2007년 7월 24일에 열린 민주노총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민주노동당이 개최한 자활참여자의 노동자성 인정에 관한 증언대회 및 토론회에서 발제한 내용입니다. Ⅰ. 근로자 개념..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질라라비 64호 (2008년 7월) 자활참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법리적 해석1) 권두섭(변호사, 민주노총 법률원) 아래의 내용은 2007년 7월 24일에 열린 민주노총 전국공공서비스노동조합, 민주노동당이 개최한 자활참여자의 노동자성 인정에 관한 증언대회 및 토론회에서 발제한 내용입니다. Ⅰ. 근로자 개념..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20 2011년 10월 20 다수사용자의 불규칙한 일자리 노동자의 조직화 (김혜진, 질라라비 61호)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다수사용자의 불규칙한 일자리 노동자의 조직화 (김혜진, 질라라비 61호) 질라라비 61호 (2008년 4월) 다수사용자의 불규칙한 일자리 노동자 조직화 - 가사서비스 노동자를 중심으로 김혜진(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집행위원장) 비공식노동자 중에서 노동자성을 갖고 있지만 노동자성을 인정받고 있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있다. 다수의 사용인에게 불규칙하게 고용되어 있으면..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질라라비 61호 (2008년 4월) 다수사용자의 불규칙한 일자리 노동자 조직화 - 가사서비스 노동자를 중심으로 김혜진(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집행위원장) 비공식노동자 중에서 노동자성을 갖고 있지만 노동자성을 인정받고 있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있다. 다수의 사용인에게 불규칙하게 고용되어 있으면..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20 2011년 10월 20 비공식노동자 조직화를 함께 이야기하다! (질라라비 54호)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를 함께 이야기하다! (질라라비 54호) 질라라비 54호 (2007년 9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를 함께 이야기하다! 철폐연대와 빈곤사회연대, 그리고 노점상연합, 대전실업연대가 모여서 비공식 노동자 조직화를 위한 고민을 시작한지 벌써 10개월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비공식노동자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지를 토론하느라 시간을 다..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질라라비 54호 (2007년 9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를 함께 이야기하다! 철폐연대와 빈곤사회연대, 그리고 노점상연합, 대전실업연대가 모여서 비공식 노동자 조직화를 위한 고민을 시작한지 벌써 10개월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이 기간 동안 비공식노동자를 어떻게 정의해야 할지를 토론하느라 시간을 다..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20.
11 2011년 10월 11 사회적일자리 창출 사업 (김병기, 질라라비 53호) 댓글 1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사회적일자리 창출 사업 (김병기, 질라라비 53호) 질라라비 53호 (2007년 8월) 사회적일자리 창출 사업 김병기(대전실업연대 사무국장) 들어가며 노무현 정부는 2006년 9월 20일 관계부처 합동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보고대회』에서 『보건복지부문 사회서비스 확충 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2007년~2010년까지 사회서비스 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질라라비 53호 (2007년 8월) 사회적일자리 창출 사업 김병기(대전실업연대 사무국장) 들어가며 노무현 정부는 2006년 9월 20일 관계부처 합동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보고대회』에서 『보건복지부문 사회서비스 확충 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2007년~2010년까지 사회서비스 관..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11 2011년 10월 11 비공식 기업의 자가 노동자 조직화 : 노점상 조직화에 대하여 (조승화, 질라라비 51호)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비공식 기업의 자가 노동자 조직화 : 노점상 조직화에 대하여 (조승화, 질라라비 51호) 질라라비 51호 (2007년 6월) 비공식 기업의 자가 노동자 조직화 - 노점상 조직화에 대하여 조승화(전국노점상연합 선전국장) 1. 노점상으로 산다는 것 길에서 장사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길거리에서 매연을 맡으며 추위와 더위 속에 장사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취객이나 폭력배들의 폭력에 ..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질라라비 51호 (2007년 6월) 비공식 기업의 자가 노동자 조직화 - 노점상 조직화에 대하여 조승화(전국노점상연합 선전국장) 1. 노점상으로 산다는 것 길에서 장사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길거리에서 매연을 맡으며 추위와 더위 속에 장사해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취객이나 폭력배들의 폭력에 ..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11 2011년 10월 11 ‘비공식노동자’운동의 조직화를 위하여 (강동진, 질라라비 50호)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비공식노동자’운동의 조직화를 위하여 (강동진, 질라라비 50호) 질라라비 50호 (2007년 5월) ‘비공식노동자’운동의 조직화를 위하여 강동진(빈곤사회연대 집행위원장) 1. 고용형태와 조직운동의 다양성이라는 현실 한국사회에서 비정규직은 급격하게 늘어 임금노동자의 50%를 넘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크게 세 가지 경로를 통해 확산되어 왔다고 얘기되어 진다.1)..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질라라비 50호 (2007년 5월) ‘비공식노동자’운동의 조직화를 위하여 강동진(빈곤사회연대 집행위원장) 1. 고용형태와 조직운동의 다양성이라는 현실 한국사회에서 비정규직은 급격하게 늘어 임금노동자의 50%를 넘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크게 세 가지 경로를 통해 확산되어 왔다고 얘기되어 진다.1)..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11 2011년 10월 11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이제 사활을 걸어야 한다 (신희철, 질라라비 41호) 댓글 0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이제 사활을 걸어야 한다 (신희철, 질라라비 41호) 질라라비 41호 (2006년 8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이제 사활을 걸어야 한다 신희철(전국노점상총연합 정책국장) ‘비공식노동자’? 여전히 한국사회에서는 ‘비공식노동자’1)라는 용어가 생소하다. 하지만 ILO에서도 기존 노동시장, 혹은 공식 노동시장에서는 노동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이에 따라 ..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 질라라비 41호 (2006년 8월) 비공식노동자 조직화, 이제 사활을 걸어야 한다 신희철(전국노점상총연합 정책국장) ‘비공식노동자’? 여전히 한국사회에서는 ‘비공식노동자’1)라는 용어가 생소하다. 하지만 ILO에서도 기존 노동시장, 혹은 공식 노동시장에서는 노동자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이에 따라 .. 댓글 [불안정노동자 조직화]/비공식부문 조직화 2011.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