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2012년 10월 24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질라라비 10호 (2012년 8월)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 김영경(청년유니온 초대 위원장) 지난 7월 27일부터 7월 30일까지 ‘원전반대, 비정규직 반대, 하시모토(오사카 시장) 반대 제42회 젠코대회 in 오사카’에 다녀왔..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호 (2012년 8월)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 김영경(청년유니온 초대 위원장) 지난 7월 27일부터 7월 30일까지 ‘원전반대, 비정규직 반대, 하시모토(오사카 시장) 반대 제42회 젠코대회 in 오사카’에 다녀왔..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4 2012년 10월 24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질라라비 10호 (2012년 8월)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 김영경(청년유니온 초대 위원장) 지난 7월 27일부터 7월 30일까지 ‘원전반대, 비정규직 반대, 하시모토(오사카 시장) 반대 제42회 젠코대회 in 오사카’에 다녀왔..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호 (2012년 8월) 이 세상을 '누구의 시선'으로 '어떻게 구성'해나갈 것인가를 묻는 대회 - 일본 젠코대회를 다녀와서 - 김영경(청년유니온 초대 위원장) 지난 7월 27일부터 7월 30일까지 ‘원전반대, 비정규직 반대, 하시모토(오사카 시장) 반대 제42회 젠코대회 in 오사카’에 다녀왔..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4 2012년 10월 24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전노동자 문제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전노동자 문제 질라라비 108호 (2012년 7월)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전노동자 문제 김은식(한일연대미디어 더풀 기획실장) 원전노동자 증언에서 드러난 문제 지난해 9월 26일 오키나와 지방지인 <류큐신보>는 쥬부전력 하마오카 원전에서 근무했던 원전노동자를 인터뷰해서 기사로 보도했으나 국내는..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8호 (2012년 7월)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전노동자 문제 김은식(한일연대미디어 더풀 기획실장) 원전노동자 증언에서 드러난 문제 지난해 9월 26일 오키나와 지방지인 <류큐신보>는 쥬부전력 하마오카 원전에서 근무했던 원전노동자를 인터뷰해서 기사로 보도했으나 국내는..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4 2012년 10월 24 일본의 노동법 개악 움직임과 시민운동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일본의 노동법 개악 움직임과 시민운동 질라라비 107호 (2012년 6월) 일본의 노동법 개악 움직임과 시민운동 김은식(한일연대미디어 더풀 기획실장) 일본의 노동기준법과 노동계약법 본래 일본의 노동기준법(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 해당) 제14조에는 유기노동계약을 체결할 경우 원칙적으로 3년을 넘지 못하도록 제약을 두고 ..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7호 (2012년 6월) 일본의 노동법 개악 움직임과 시민운동 김은식(한일연대미디어 더풀 기획실장) 일본의 노동기준법과 노동계약법 본래 일본의 노동기준법(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에 해당) 제14조에는 유기노동계약을 체결할 경우 원칙적으로 3년을 넘지 못하도록 제약을 두고 ..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4 2012년 10월 24 일본 ‘평화와 민주주의를 향한 전국교환회(ZENKO)’를 소개합니다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일본 ‘평화와 민주주의를 향한 전국교환회(ZENKO)’를 소개합니다 질라라비 106호 (2012년 5월) 일본 ‘평화와 민주주의를 향한 전국교환회(ZENKO)’를 소개합니다 김은식(한일연대미디어 더풀 기획실장) 비정규직 철폐를 위한 한·일 연대행동, One Day Action 2011년, 한국이 한진중공업 크레인 고공농성을 응원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희망버스로 홍역..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6호 (2012년 5월) 일본 ‘평화와 민주주의를 향한 전국교환회(ZENKO)’를 소개합니다 김은식(한일연대미디어 더풀 기획실장) 비정규직 철폐를 위한 한·일 연대행동, One Day Action 2011년, 한국이 한진중공업 크레인 고공농성을 응원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희망버스로 홍역..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4 2012년 10월 24 ‘나카마유니온’이란?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나카마유니온’이란? 질라라비 105호 (2012년 4월) ‘나카마유니온’이란? 이데쿠보 케이치(나카마유니온 위원장) 니카마유니온의 목적과 일상 활동 나카마유니온은 1998년 오사카에서 결성된 어느 누구라도 개인이라도 가입할 수 있는 지역에 거점을 둔 커뮤니티 유니온*입니다. 현재 조합원은 250명입니다. 나..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5호 (2012년 4월) ‘나카마유니온’이란? 이데쿠보 케이치(나카마유니온 위원장) 니카마유니온의 목적과 일상 활동 나카마유니온은 1998년 오사카에서 결성된 어느 누구라도 개인이라도 가입할 수 있는 지역에 거점을 둔 커뮤니티 유니온*입니다. 현재 조합원은 250명입니다. 나..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4 2012년 10월 24 일본 비정규직 투쟁의 과제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일본 비정규직 투쟁의 과제 질라라비 104호 (2012년 3월) 일본 비정규직 투쟁의 과제 이데쿠보 케이치(나카마유니온 위원장) 일본의 비정규노동은 확대되고 있다 파견이 감소하고, 계약사원·촉탁 등 기간제 노동자가 증가 2010년 취업자 5,153만명(전년대비+46만명), 정규직 3,354만명(+11만명), 비정규직 1,798만명(+38만명), ..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질라라비 104호 (2012년 3월) 일본 비정규직 투쟁의 과제 이데쿠보 케이치(나카마유니온 위원장) 일본의 비정규노동은 확대되고 있다 파견이 감소하고, 계약사원·촉탁 등 기간제 노동자가 증가 2010년 취업자 5,153만명(전년대비+46만명), 정규직 3,354만명(+11만명), 비정규직 1,798만명(+38만명), ..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10. 24.
23 2012년 02월 23 불안정고용철폐를 위한 한일연대를 제안하며 : 일본의 일반노조를 들여다본다 댓글 0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불안정고용철폐를 위한 한일연대를 제안하며 : 일본의 일반노조를 들여다본다 질라라비 103호 (2012년 1/2월) 불안정고용철폐를 위한 한일연대를 제안하며 : 일본의 일반노조를 들여다본다 김은식((준)한일미디어연대 더풀 기획실장) 커뮤니티유니온을 아십니까? 1989년 총평의 붕괴와 ‘렝고(Rengo,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의 출범으로 일본의 노동운동은 격변을 겪었..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2. 23. 질라라비 103호 (2012년 1/2월) 불안정고용철폐를 위한 한일연대를 제안하며 : 일본의 일반노조를 들여다본다 김은식((준)한일미디어연대 더풀 기획실장) 커뮤니티유니온을 아십니까? 1989년 총평의 붕괴와 ‘렝고(Rengo,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의 출범으로 일본의 노동운동은 격변을 겪었.. 댓글 [비정규운동 정책]/한일 국제연대 2012. 2. 23.